인천이 화학물질 사고에 노출돼 있다. 시민들을 위협하는 화학물질 사고는 빈발해도 처벌은 '솜방망이' 수준이다. 인천지역에선 해마다 100여건이 발생하지만, 업체에는 영업정지나 과태료 부과 등 제재가 아주 미약하다. 큰 사고를 내도 행정처분을 차일피일 미루거나, 심지어 업체에선 영업허가도 없이 운영하기도 한다.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소량이라도 화학물질로 인한 사고는 대형으로 번질 수 있다. 그래서 시민들은 정부와 지자체에 안전 관리 대책을 강화하라고 요구한다.

인천시와 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에서 일어난 화학물질 사고는 87건에 이른다. 2015년 113건, 2016년 78건으로 해마다 100건 안팎으로 집계되고 있다. 하지만 화학물질 사고를 낸 업체에는 영업정지나 과태료 처분 등 미미한 처벌에 머문다. 지난 4월 화재가 크게 발생해 시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던 서구 이레화학공장의 경우 행정처분을 미루고 있다. 환경부가 한강유역환경청에 수사를 의뢰했지만, 인사 이동 등을 이유로 수사는 답보 상태다. 이 공장은 영업허가도 받지 않은 채 가동하다 불을 냈다. 서구 석남동의 한 화학폐기물처리 공장에선 지난달 2일 폐염산 15t이 누출돼 인근 공장 1곳과 도로를 뒤덮었다. 앞서 이 공장에선 2016년 5월 탱크가 폭발했고, 작년 11월과 올해 3월 각각 폐염산 누출사고가 있었다. 인근 주민들은 불안해 하며 민원을 수백번 제기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방치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화학물질 업체의 '안전 불감증'에 있다. 전기비 등 비용이 증가하자 단속반을 피해 대기배출시설을 가동하거나, 노후설비를 교체하기보다는 과태료를 내는 게 더 이득이라는 업체 분위기는 정말 아찔하다. 화학물질 사고가 한 번 나면 인근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에 어떤 피해를 가져오는지 뻔히 알면서도 개선책 마련에는 '나 몰라라' 하기 일쑤다. 여기에 환경부와 지자체의 부실한 관리 감독 등도 곳곳에 도사린 사고 위험을 키운다. 2012년 경북 구미 불산사고를 계기로 화학물질 관리 업무는 지자체에서 환경부로 이관됐지만, 유해 화학물질 관련 사고는 계속 '진행중'이다. 전국적으로 24만여 곳에 달하는 화학물질 취급업체에 대해 새롭고 안전한 운영 대책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