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동대응 기구설치 설득력
인천시민들이 들이마신 초미세먼지 중 인천 발생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지역 간 영향이 적지 않은 만큼 '수도권 미세먼지 공동대응 상설기구 설치' 등 주변 지역과 함께 추진하는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설득력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10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대기질 예보 권역에 대한 배출원별 지역 간 정량적 기여도 평가 연구' 자료를 공개했다. 2015년 국내외 미세먼지 배출량과 기상 상황을 토대로 국외에서 온 초미세먼지는 물론 19개 지역을 오간 초미세먼지(PM2.5)의 지역별 비율을 산출했다. 국내 지역 간 이동량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시민들이 2015년 한 해 들이마신 초미세먼지 중 인천에서 발생한 것은 10%에 그쳤다. 나머지 90%는 외국과 국내 타 지역에서 넘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국외 초미세먼지는 68%다.

국내 지역 간 영향도 적지 않았다. 충남에서 인천으로 흘러온 미세먼지는 7%, 경기남부 6%, 경기북부 3%, 서울 2% 등으로 조사됐다.

충남(27%)과 전남(21%) 등 자기 지역에서 배출한 비중이 높은 곳도 있었지만, 세종(2%)과 강원영동(4%) 등 대다수의 지역에서는 초미세먼지 배출 비중이 낮았다. 19개 지역이 자체 배출한 초미세먼지 비중은 평균 12.9%다. <표 참조>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지역 간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주변 지역과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자체 배출 제어로 얻을 수 있는 농도 감소 범위가 크지 않다. 효율적인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서는 각 지자체별 제어보다는 주변 영향 지역과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크게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4개 권역으로 대기관리 광역권역을 설정할 경우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박남춘 인천시장의 공약인 '수도권 미세먼지 공동대응 상설기구 설치'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