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우위 분담구조 탈피를
2년 전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을 맞아 대대적인 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나섰던 인천시 정책이 공염불이란 비판이 제기됐다. 매년 가파르게 시내버스 이용객이 줄며 시가 부담할 준공영제 비용은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이고, 시내버스 이용객이 지하철로 옮기며 만원 지하철 문제는 증차 등의 비용으로 번졌다. 여기에 승용차 이용률도 덩달아 뛰며 인천 대중교통 체계는 낙제점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인천시는 10일 지역 교통정책의 근본적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시는 "인천지역은 자동차 증가에 따른 도심 교통이 혼잡하다"며 "승용차 우위의 교통수단 분담구조 탈피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지하철 이용객은 늘고 있지만 시내버스 수송 인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자동차가 늘며 원도심 주택가 주차난은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자동차는 도로·철도 등 교통시설 확충 속도를 앞섰다. 지난 2010년 92만5000여대이던 자동차 등록대수는 4년 후 124만7000여대까지 늘었고, 올해는 153만3000여대로 집계됐다. 시는 인천의 도시 확장과 인구 증가 추이를 감안할 때 2025년까지 자동차 등록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인천의 교통수단 분담 구조가 승용차 중심으로 고착화됨을 보여준다.
<표 참조>

지난 2013년 35.8%였던 승용차 분담률은 매년 0.4~0.5%씩 치솟고 있다. 가장 최근 통계인 지난 2016년 현재 인천지역 승용차 교통수단 분담률은 37.2%에 달한다.

시는 재정난을 불러온 2호선 개통으로 지역 교통혼잡 문제를 잡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되레 지역 시내버스 수송 인원만 줄어드는 결과를 낳았다.

인천지역 지하철 수송 인원은 2014년 3억4560만6000명에서 2017년 4억3449만5000명까지 늘었다. 이 기간 시내버스 수송 인원은 2014년 4억1989만7000명에서 2017년 3억4309만9000명까지 내려갔다. 시내버스 이용자만 고스란히 지하철로 옮겼다는 분석이다.

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교통수단 분담률에서 버스 비중이 낮아지는 추세"라며 "신도심이 곳곳에 생기면서 대중교통 연계 교통망이 뒷받침되지 못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이주영·이순민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교통정책 2년] 6000만명 떠난 시내버스, 적자 지원 부담만 남았다 지난 2016년 7월30일 인천시는 42년 만에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했다. 인천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수인선 인천 구간 연장에 발맞춰 중복 노선을 없애고, 환승 연계율을 높인다는 취지였다. 당시 212개 노선 가운데 86개(40.5%) 노선이 바뀌었고, 29개(13.7%)가 폐선됐다. 조정 비율은 54.2%에 이른다. 2년여가 흐른 지금 시내버스 이용객은 대폭 감소했다. 그로 인한 준공영제 지원 예산도 급증했다. ▲노선 개편 이후 이용객 6000만명 감소 시내버스 이용객은 노선이 전면 개편된 2016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