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한 지 1년을 맞았지만, 곳곳에서 맹점이 나타난다. 문제점은 없는지 꼼꼼하게 살펴 과감히 개선할 부분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지역 공기업들도 블라인드 채용에 골치를 앓는다. 필기시험에 따른 재정부담이 크고, 허위이력 등을 가려내는 데 골몰하다 보니 그렇다. 합격 후 채용을 취소한 사례도 있다. 인천항만공사(IPA)의 경우 시니어 일자리에 최종 합격한 50대 남성이 연령 제한 기준(만 55세 이상)에 1살이 부족한 사실을 뒤늦게 확인해 그의 합격을 취소했다. IPA는 임용 전까지 연령을 확인할 수 없는 탓에 벌어진 일이라며 블라인드 채용의 허점을 지적했다. 지원자들이 사실을 허위로 기재하면, 최종 면접 전까지 찾을 방법이 마땅치 않은 것이다.

블라인드 채용은 그 절차의 공정성을 위해 서류 전형부터 면접까지 응시자의 연령·성별·출신지 등을 공개하지 않는 '능력 중심' 방식을 말한다. 문제는 연령을 제한하는 시니어 일자리에는 나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응시자가 채용 과정에서 실제 나이를 밝히지 않는 이상 언제든 비슷한 상황이 재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인천관광공사도 블라인드 채용에 따라 입사지원서에 성별·나이·학력·사진 등 지원자에게 선입견을 줄 수 있는 항목을 모두 없앴다. 그 결과 올 상반기 공채에 1524명의 지원자가 몰렸다. 2016년 680여명에 비해 2배가 훨씬 넘는다.

지원자가 급증하면서 필기시험 장소로 학교 2곳을 빌려야 하는 등 관련 비용도 크게 불어났다. 채용 과정에서 사용되는 비용의 80% 이상은 필기시험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채용 횟수가 줄어드는 등의 맹점을 일으킬 수 있다.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정부는 탈(脫) 스펙과 직무능력 중심으로 뽑겠다는 취지의 블라인드 채용을 핵심 일자리 정책으로 삼고, 지난해 7월부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이를 확산시켜 왔다. 그만큼 블라인드 채용은 '공정한 심사'라는 좋은 의미로 시작됐다. 그런데 지원자의 허위 기재 등으로 선의의 피해자가 나오는 등 허점을 드러낸다면, 빨리 개선책을 세워야 한다. 무작정 '좋다'고 방치했다가는 어떤 불상사가 날지 모른다. 블라인드 채용과 어울리는 새로운 시험과 면접 등의 방식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