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힘 모아야 할 대형 프로젝트
인천항은 뼈아픈 상처를 갖고 있다.

전남 광양항을 부산항과 함께 국내 2대 항만으로 육성하는 '투 포트(tow-port) 정책'으로 입었던 상처다.
▶관련기사 7면

과거 정부는 두 항만을 편애하면서 인천항 발전은 외면했다. 그 탓에 이미 수년 일찍 태어나야 했던 인천신항의 완공 시기가 2015년으로 한참 늦춰졌다. 연간 210만개의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는 신항이 가동되자,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 순위 2위였던 광양항이 3위로 내려앉고 그 자리에 인천항이 올라섰다.

그간 정부의 편파로 왜곡된 국내 항만산업이 바로잡히는 순간이었다.

그 뒤로 인천항은 지금까지 부산항에 이어 국내 컨테이너항만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지난해엔 국내 2번째로 연 300만TEU 시대를 열기도 했다.

인천항은 앞으로도 발전을 거듭해야 할 대한민국 관문항이다. 2025년 400만TEU를 처리하는 세계적 무역항으로 도약하기 위해 밤낮 없이 달리고 있다. 인천항이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해선 무엇보다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문제는 당장 신항이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신항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150만TEU로, 전체 컨테이너 처리 능력(210만TEU)의 70%를 돌파했다.

신항 내 부두를 확장해야 하는 시점이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으로, 이 시기를 놓칠 경우 인천항은 항만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천항만공사(IPA)는 기존 신항 1-1단계 컨테이너부두 양 옆으로 총 6개 선석(4000TEU급 2개·2000TEU급 4개)을 추가 조성하는 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개발을 준비 중이다.

인천 항만업계에선 IPA의 의지만 갖고 할 수 없는 대형 프로젝트로, 지역 정치권이 힘을 합쳐 정부를 움직이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 교류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대북 무역에 대비해 신항 부두를 조기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운수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4일 IPA에서 열린 '인천항을 거점으로 한 남북 경제 협력 세미나'에서 "인천항이 북한 수출입 화물의 환적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항 조기 확장 개발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선거정책 어젠다] 기대 못 미친 광양항 … 보란 듯 제친 인천항 그동안 인천지역에선 투 포트 정책을 근거로 '과거 정부의 인천항 홀대론'을 제기해왔다. 광양항만 놓고 보더라도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 인천항을 차별하고, 대한민국 항만 경쟁력과 균형을 떨어뜨렸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실린다. 7일 해양수산부와 항만업계에 따르면 1997년 광양항엔 1단계 컨테이너부두가 들어섰으며, 2007년까지 3단계 1차 컨테이너부두가 완성되면서 광양항은 연간 540만개의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게 됐다. 정부가 광양항의 성장 가능성을 점치고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은 결과다. 그러나 광양항은 정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