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맞이한 제56주년 광복절은 예전과 또다른 분위기로 우리에게 다가왔다. 꼬여만 가는 요즈음의 대일관계와 맞물려서인지 금년 광복절은 반일, 극일의 의미이상으로 우리에게 과거의 아픔만을 되새기게 하고있어 더욱 그렇다.
 “일본천황을 위해 충성을 다하다 죽은자를 기리기 위한 야스쿠니신사에 우리측 전쟁희생자들이 함께 하고있는 것은 모순이지요.” 태평양 전쟁 피해자 보상추진위원회 이사 김행진씨(78. 인천시 중구항동)의 이같은 지적은 일본측의 전쟁희생자에 대한 통념을 우리측 민간인 차원에서 고발한 것으로 그의미가 적지않다.
 지난 42년 18세의 젊은 나이에 강제징집돼 태평양 전쟁 격전지를 떠돌았던 김씨가 최근 재한군인군속보상 청구소송 원고자격으로 일본 동경 지방재판소에 보상소송을 제기한 것은 우리민족이 당한 과거에 희생을 정당한 보상요구로 대변했다고 볼 수있다.
 특히 김씨의 이같은 주장은 요즈음 들어 세론으로 불거지고 있는 일본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에 대해 국수주의 사고로만 일관하고있는 일본정부측에 반성촉구라는 연장선상으로 맥락을 같이해 더욱 뜻이 깊다. 게다가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된 우리측 희생자에 대한 위패반환요구는 그동안 정부도 제대로 거론을 안한 사안으로 그 정당성이 충분하다.
 사실 일본측은 강제징집된 우리측 희생자들에 대해 과거의 잘못을 조금이라도 인식한다면 `사죄의 당""을 지어 별도로 위패를 모시고 반성의 장으로 삼던지 그들의 위패와 유골을 우리에게 인도하든지 했어야 하는 것이 옳은 일이다. 강제징집된 우리측 희생자를 전범들과 같은 차원에서의 대우와 처리는 두말 할 필요없이 가당치도 않은 조치이다.
 결론적으로 이번 민간차원에서의 우리측 희생자에 대한 보상촉구와 요구가 그들만의 주장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지 정부가 나서야 하는 것이 수순이다. 우리는 그것을 기대하며 정부의 전향적인 자세를 촉구한다.
 역사교과서 왜곡파동과 일본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우리에게 많은 역사적 교훈을 주고있다. 역사적 가치라는 것은 과거의 경험이 미래에 교훈으로 더 나아가 현실속에 정당하게 발휘될 때 비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