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 농사를 지을 인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은 이미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다. 정부는 이처럼 부족한 일손을 메우기 위해 오래 전부터 기계화 영농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농기계 판매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농기계 구입과정이 투명하지 못하면 금방 잡음이 날 수밖에 없다. 아니나 다를까, 김포시에서 결국 잡음이 일어나고 있다. 김포시농업기술센터는 농가경영체로 등록한 농가를 대상으로 자부담 50%에 시·도비 50%(도비 15%, 시비 35%)를 지원해 농기계 구입을 돕는다. 제품구입 과정과 절차는 매우 체계적이다. 농기센터가 사전에 수요조사를 하고, 다음해 본예산에 반영한 뒤 각 읍면동사무소나 농협을 통해 신청을 받는 등 공정한 심사를 거쳐 지원하는 방식이다. 일정한 자격을 갖춘 농가들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농기계구입을 지원받는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6년간 농가가 구입한 농기계 제품을 확인해 보니 무려 90% 이상이 특정업체 제품이었다. 어떤 상품이든 품질의 차이는 있을 수 있고, 또 소비자 선호나 유행에 따라서도 판매에 차이를 보일 수는 있다. 그러나 특정제품의 판매 점유율이 90%를 넘는다면 문제가 다르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농가가 구입한 699대 보행관리기 중 676대가 특정제품이었고, 더구나 이 제품을 취급하는 대리점에서 구매했다고 한다.

2016년과 2017년에도 보행관리기 199대 중 195대와 승용관리기 18대 전부가 같은 대리점을 통해 농가에 팔렸다. 지난해에도 전체 106대의 제품 중 105대가 같은 대리점에서 보급됐다고 한다.
상황이 이쯤 되자 혹시 농기계구입 신청서 명단이 유출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물론 농기센터는 이런 의문에 대해 "농민들 선택의 결과일 뿐 신청자 명단이 유출될 가능성은 없다"고 보는 모양이다. 그러나 드러난 결과를 놓고 보면 농기센터의 해명만으로 제기되는 의문을 지우기는 어려워 보인다. 마땅히 시가 나서야 한다. 농민들로부터 제기된 의혹에 대해 명쾌한 답을 주어야 하는 것은 시에 부과된 책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