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Green Climate Fund·녹색기후기금)는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유엔(UN) 산하 국제기구다. 이산화탄소 증가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세계는 지금 지역별로 폭우와 가뭄, 빙하 감소,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당한다. GCF는 선진국에서 기금을 마련해 개발도상국에 기후변화로 겪는 피해를 줄이고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온실가스의 인위적 방출을 규제하려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목표와도 서로 통한다. 갖가지 피해를 일으키는 기후변화에 전 세계가 협력해 대응하자는 취지다.

녹색기후기금은 '제2의 세계은행'으로도 불린다. 그만큼 엄청난 재원을 투입·관리한다는 뜻이다. 그런 GCF 사무국이 인천 송도에 있다. 2013년 12월 4일 송도에서 공식 출범한 GCF가 인천의 녹색도시 성장은 물론 지역경제 발전을 꾀하는 데 힘을 보태기로 했다.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GCF는 엊그제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무국이 인천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라마크리슈나 전략기획실장의 얘기다. 그는 아울러 훈풍이 부는 남북 관계를 고려해 향후 북한 지원에 대한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최근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남북단일팀을 구성하고 특별사절단이 방북을 하는 등 관계를 개선하고 있는 만큼 GCF가 도울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면 북한에서도 기후변화 관련 사업을 벌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고무적인 일이다. 북한까지 염두에 두었다니 GCF가 그냥 한국에, 그것도 인천에 있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인천이야 말로 '평화도시'로 여길 정도로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지 않은가.

인천은 사실 그동안 '잿빛도시'로 불렸다. 한국전쟁 이후 경제개발과 관련해 공장들이 밀집하고 수도권 쓰레기가 들어오는 등 부정적 인식이 강했다. 그러던 인천이 요즘은 '녹색도시'를 희망한다. 인천시는 도시 곳곳에 녹색을 입히려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 등 부단한 노력을 기울인다. 그 결과 지금 여러 형태로 바뀌고 있는 중이다. 이런 인천에 GCF까지 나서준다면 금상첨화라고 할 만하다. 말로만이 아닌 정말 '녹색도시'로 부를 수 있는 인천으로 만들었으면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