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공회의소는 133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일본 등 외세 자본이 밀려오던 1885년, 국내 상권 수호를 위해 결성된 인천객주회가 그 효시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자본의 형성에 앞장섰으며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시기에는 경인수출산업의 구심점이 돼 왔다. 그러나 인천상의가 언제부턴가 그 전통의 역할과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전국 지역 상공회의소들의 공통적인 현상이기는 하지만 지역 경제계의 리더십을 잃고 있다는 우려다. 내주에는 인천상공회의소의 제23대 회장단이 새로 출범한다. 이를 계기로 인천상의가 자체 동력을 키우고 제4차 산업혁명에도 주도적으로 나서는, 명실상부한 인천경제의 구심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인천상공회의소는 개항기부터 지역경제 발전을 이끌어왔다. 1970∼1990년대 산업화 시기에는 인천 내항 건설과 경인선 전철화, 부평·주안·남동산단 조성, 경인고속도로 개통 등 지역경제 개발의 중심에 서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지역내 역할과 비중이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경제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지역 상공인들의 역량 결집에도 미흡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각종 정책 건의도 해운·항만에 머물러 있고 항공과 바이오, 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 분야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인천상의가 경제구조 변화를 따라가지 못해 지역 경제계에 대한 구심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다 보니 일부 협·단체에 대한 의존이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끼리 끼리'식 상의 운영이라는 불만으로도 표출되고 있다. 인천상공회의소 회장단 21명 중 17명이 인화회 회원으로 참가해 있는 점도 이같은 시각을 부추긴다.

인천상의가 본래의 역할과 위상을 회복하는 문제는 인천경제의 활력과 직결된다. 새 회장단 출범을 계기로 지역 상공인들의 실질적인 전진기지가 돼야 할 것이다. 지역경제 현안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어젠다를 발굴하고 이를 실현할 자체 역량을 키워야 할 것이다. 전통적 제조·유통업은 물론, 경제자유구역의 바이오, 반도체, MRO 분야까지 뒷받침해 인천경제의 구심력을 회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