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건의 해운·항만 집중 항공·바이오·반도체 소홀
현 회장단 17명 인화회 회원 의존 높아져 역할 축소 원인
오는 12일 인천상공회의소가 제23대 회장을 선출한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지역경제의 한 축을 이루는 최대 경제단체다. 상의 차기 회장에 어떤 인물이 오를지 지역내 큰 관심이 쏠리고 있는 이유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인천상공회의소 기관 자체의 역할과 위상이 다소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향후 3년 인천경제를 이끌어 갈 새 수장과 임원진의 역할이 중요한 대목이다. 인천상공회의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 등을 2회에 걸쳐 짚어본다.

인천상공회의소는 개항기부터 지역경제 발전을 이끌어왔다.

1970~1990년대에는 인천 내항 건설과 경인선 전철화, 부평·주안·남동산단 조성, 경인고속도로 개통 등 역사적·경제적 현안 중심에 서 있었고, 관련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 정부의 정책수립에 반영했다.

2000년대에는 기업의 산업재산권 보호를 지원하고 무역 인프라 확대를 위한 사업을 다각적으로 벌이기도 했다.

이처럼 130년 이상 지역 경제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온 단체지만, 200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지역내 역할과 비중이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7년 인천상공회의소 사업보고서를 보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시민단체와 함께 내놓은 40개 인천경제주권 어젠다 외에 인천상의가 독자적으로 정부에 제시한 정책 건의는 단 4건에 불과하다.

아울러 정부 정책 건의가 해운·항만 분야에만 집중되고, 신산업으로 떠오르는 항공과 바이오, 반도체 분야에 대한 관심도는 현저히 떨어진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나온다.

상의가 지역 경제 변화에 발맞춰 보다 폭넓은 사업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는 목소리다.

반면 일부 협·단체에 대한 의존은 심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이는 상공회의소 역할 축소의 큰 원인으로 꼽힌다.

인화회는 인천의 고위 공직자와 협·단체장, 교육·언론계 인사, 기업인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 거대 사모임 조직이다.

회원 전체의 절반가량이 기업인들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상의 임원과 겹친다.

실제로 제22대 인천상공회의소 회장단(회장, 부회장, 상근부회장, 감사) 21명 가운데 17명이 인화회 회원으로 소속돼 있다.

결국 상의의 상당 기능이 지역내 세력을 뻗고 있는 인화회로 옮겨지면서, 경제 단체로서 상의 위상도 추락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문제들은 인천상공회의소 회비 징수율 저하로도 이어진다.

2017년 말 인천상의 회원수는 4701개사(당연회원 2204개, 특별회원 20개, 임의회원 2468개, 준회원 9개)로, 이중 절반가량이 회비를 제때 납부하지 않은 체납회원으로 분류돼있다.

상공회의소법에 회비 납부는 강제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어, 상의는 뾰족한 제재 방법없이 골머리를 썩고 있다.

한 지역 관계자는 "회원들의 체납률이 지속 증가하는 것은 인천상공회의소가 회원사들의 서비스 이해관계를 대변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인천상공회의소의 위상 회복과 경제단체로서의 역할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신나영 기자 creamy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