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정이 민선 7기 지방선거를 앞두고 종료됐다. 남경필 지사와 더불어민주당 박승원 대표, 자유한국당 최호 대표 등 경기연정의 한 축을 담당했던 각 당 대표들은 지난달 28일 '도민과 함께한 경기연정 기념식'을 열고 연정의 종료를 공식 선언했다. 2014년 8월 경기연정 정책협의회 합의문에 서명한 지 1304일 만이다. 연정은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실험이었다. 공과를 떠나서 1300여일을 지속할 수 있었던 데는 연정을 이끌었던 주역들의 노력과 정성이 있었던 덕분에 가능했을 것이다. 겉보기에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보였어도 당사자들에게는 순간순간 닥쳐오는 위기와 난관을 극복해 나가기 위해 극한의 인내와 정성이 필요했을 법하다. 정당 간 정치적 득실과 정치인 개개인의 이해관계가 주효했을 것이라는 일각의 분석도 있다. 그르다고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치가 아무리 험하고 경박하게 운용된다 하더라도 서로 다른 정당과 지지기반이 다른 사람들이 연정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에 합의하고 오랜 시간 유지하까지는 서로 다른 가운데서도 일정한 정치철학을 공유하며 도민들의 이익을 우선하는 충정이 없었을 리 만무하다. 남경필 지사의 정치철학과 그 믿음에 대한 헌신도 중요했다. 쉽게 이해하자면 경기도 연정은 도지사의 권력을 덜어내는 일이었다. 사회통합부지사(후반기 연정부지사)를 더불어민주당에 주었고, 상당수 산하단체 기관장 자리도 다른 당에 양보했다. 선거를 도왔던 지지자들의 저항과 원망이 왜 없었겠는가. 연정의 가치에 동의하고 협력했던 도의회 야당 지도자들의 헌신과 수많은 어려움 가운데서도 실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숱한 고민을 떠안았던 경기도 공무원들의 역할도 인정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문제는 이제부터다. 연정을 어떻게 평가하고, 받아들이느냐는 문제는 한국정치의 미래와 곧바로 연결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연정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정한 분석과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연정의 주체들은 물론 학계와 언론, 시민 등이 함께 참여해 연정 이후 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연정이 언제 어떤 모습으로 다시 나타날 수 있을지 알 수 없지만, 불모지에서 모처럼 전개됐던 정치적 상상력 하나만은 지속적으로 키워갈 수 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