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여름철만 되면 어김없이 되풀이 되는 물난리에 대책은 없는가. 지난달 15일 집중호우로 크게 피해를 본 인천지역 상습침수지역이 엊그제 내린 폭우로 또다시 물에 잠겨 2천3백여곳의 주택·상가입주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시가 여름철 침수 취약지구로 관리하고 있는 6개구 22개 상습침수지역중 대부분이 한달새에 연거푸 물난리를 겪었다는 것은 이유가 어떻든간에 관의 수방대책의 한계를 노출한 것으로 안타깝다 못해 한심하다.
 시는 지난 99년부터 상습침수지에 대한 환경개선을 위해 오는 2004년까지 이들 지역에 유수지와 펌프장 설치 등을 골자로하는 침수종합대책을 수립해 왔다. 그러나 이같은 대책은 시가 예산부족에 따른 연차적 추진이라는 제약 탓에 앞으로도 당분간은 침수피해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하겠다.
 더욱 큰 문제는 인천시내가 바닷가를 끼고 있는 등 지역적 불리함에도 불구 유수지 미비에다 저지대 하수관거용량 마저 턱없이 부족해 집중호우와 연안만조 수위가 겹칠시 침수피해에 더욱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다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서구 석남2동 주택지 주민과 동구 송현주거환경개선지구일대 주민 등 상습침수 피해주민들의 집단항의는 한마디로 시의 지난한 수방대책이 자초한 결과로 밖에 볼 수없게 됐다.
 물론 200~300㎜ 이상의 폭우가 단시간내에 쏟아져 발생하는 침수피해는 인간의 힘으로 불가항력 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 피해를 최소화 하고 예방하는 것은 관의 몫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항상 물난리때만 되면 침수방지대책을 내놓는 관이 그 피해를 조금도 줄이지 못하고 매년 되풀이 해서 주민들에게 고통만 안겨준다면 누가 관의 침수대책을 믿겠는가. 즉 고작 100㎜만 넘어도 항상 물난리를 겪는 인천시내 저지대의 현실은 지역 수방대책의 한계를 의미한다.
 매년 이상기후로 폭우발생 빈도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더이상 소 잃고도 외양간을 고치지 못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이같은 차원에서 시는 지금이라도 상습침수지에 대한 효율적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는 한편 침수지 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없도록 지원에 만전을 다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