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역에 최근 2~3년새 잦아진 게릴라성 호우로 침수피해가 잇따르면서 이에 대한 수방대책 마련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기사 3·19면〉
 인천시와 경기도는 국지성 집중호우를 잡기 위해서는 하수관거 용량을 현재보다 두 배 이상 증설하는 작업이 필요하나, 이에 따른 엄청난 예산을 조달할 길이 없어 애를 태우고 있다.
 30일 인천시와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의 하수관거 용량으로는 시간당 80여㎜ 이상씩 쏟아지는 빗물을 도저히 처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건설교통부 공공하수도 설치기준은 간선관거(하수박스)의 경우 10년 단위로 시간당 최대 강우량 빈도(64㎜), 지선관거(흄관)는 5년 빈도(54㎜) 단위로 정해져 있다.
 즉 인천·경기지역에서 지난 15일 내린 시간당 최대 강우량(86㎜)은 50년, 30일 강우량(82㎜)은 40년 빈도이기 때문에, 현재의 우수관거 용량으로는 이를 수용할 방법이 없다는 계산이다.
 최근의 국지성 강우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존 하수관을 증설하는 방안이 유일한 대안이지만 총 3천44㎞에 달하는 하수관을 교체하려면 천문학적인 예산이 수반되기 때문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40~50년 빈도의 집중호우를 대비한 수방대책을 세우기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며 “하지만 최근 기상변화 등을 고려 해 볼 때 하수시설설치기준 등 장기적인 수방대책이 바뀔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인천지역 하수관은 군데군데 토사로 막혀 있어 침수 피해를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인천시가 지난 99년 하수도정비를 위해 하수관을 표본조사한 결과 11m당 1개소가 불량한 것으로 조사됐다. 불량내역은 연결관 돌출이나 관이음불량, 부식, 관파손, 타관통과, 토사퇴적 등이 주된 사유였다. 가뜩이나 용량이 부족한 하수관이 이같은 사유로 제구실을 못해 하수 역류현상을 부추긴 셈이다.
 시는 올 초 근본적인 수방대책을 위해 하수관거 정비계획을 세웠으나 총사업비가 무려 1조원에 달해 사업을 사실상 포기했다. 대신 6백63억원을 들여오는 2004년까지 ▲하수도 증설(10.9㎞) ▲펌프장 신·증설(백운주택·인천교) ▲유수지 신설(갯골·화수·삼산) 등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게릴라성 집중호우 대비책을 사실상 세우지 못하고 있다. 장시간이 소요되는 수방대책을 50년 빈도의 호우수준에 맞출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도는 다만 불량 하수관이 침수의 주된 원인으로 보고 올 한햇동안 1천1백87억원을 들여 31개 시·군에 317㎞의 하수관 정비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에도 1천6백55억원을 투입해 462.5㎞의 하수관을 신설 또는 개보수하는데 그쳤다. 〈김규원·백종환기자〉
k2@incho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