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해안은 항만, 군 철책선, 산업시설 등으로 상당 부분 막혀 있다. 그래서 시민들은 좀처럼 바닷가에 나가 즐길 수 없다.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인천에서 역설적이게도 이는 사실이다. 시민들이 바닷가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이 꼭 필요한 이유다. 그러면 해안지역 친수공간을 확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지금으로선 권역별·단계별로 추진하는 일이 바람직해 보인다. 지역별로 사정이 있는 만큼 한번에 일을 벌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인천에서 접근 가능한 해안선 총길이는 서구 수도권매립지부터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에 이르기까지 약 133㎞에 달한다. 하지만 공업지역이 7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공업지역은 항만시설·관련업체 입주 등으로 인해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다른 해안가도 군(軍) 설치 철책이나 군사시설로 접근에 제한을 받는다. 강화군과 옹진군을 제외하고 인천 내륙에 설치된 해안 철책선은 63.6㎞나 된다.

그런데 인천시가 이런 점을 감안해 경인아라뱃길 친수구역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환경단체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가톨릭환경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 등은 시의 사업은 환경파괴와 혈세낭비를 부를 뿐이라고 비판했다. 사실 경인아라뱃길 사업은 실패했다. 따라서 친수구역 개발에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개발 계획지는 대개 개발제한구역이자 환경평가 1, 2등급지로서 보전을 해야 한다는 게 환경단체들의 주장이다. 정부에서 2조7000억원을 들여 조성한 경인아라뱃길의 경우 개통 5년을 넘겼지만, 화물처리 실적이 당초 계획량에 0.08%에 그친다. 승선객도 목표량(61만명)에 한참 못 미치는 13만명에 불과하다
시는 상황에 따라 사업비 규모가 엄청난 개발방식을 바꿀 수 있다고 했지만, 천문학적인 액수를 들여야 한다는 데에는 인정을 한다. '재정위기' 단체에서 막 벗어난 일을 인천시는 벌써 잊었나 보다. 정신이 있으면 어떻게 이럴 수 있는가. 친수공간이 별로 없어 수십년간 불편을 감수한 시민들도 뜨악해 하긴 마찬가지다. 시는 이 계획을 폐기해야 마땅하다. 괜히 시 재정 투입 사업이 생색은커녕 욕만 잔뜩 들어야 한다면 빨리 잊어야 한다. 친수공간 확보는 앞서 언급했듯 권역별·단계별로 차근차근 추진해야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