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빅딜이 시작되었다. 광명~구로구간의 환경시설 빅딜이 이뤄진 가운데 과천~의왕과 파주~김포, 남양주~구리 등 경기도내 3개권역 6개 시군의 폐기물처리시설 광역화와 빅딜이 합의됐다는 발표를 시작으로 환경빅딜이 가속화되고 있다.
 주민반대와 행정기관의 밀어붙이기식 행정에 의해 갈등과 대립이 곳곳에서 진행되어 왔던 사실을 상기한다면 환경빅딜에 대한 소식은 환경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첫째, 주민들이 환경빅딜에 찬성할 수 있는가의 여부이다. 성남~광주간 폐기물 처리와 관련한 소각장 시설 사용에 대한 빅딜이 추진되었으나 실패했고, 또한 광명~구로간 빅딜도 주민반대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주민과 직접적으로 마찰이 없는 곳에서 환경빅딜은 자연스럽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과천~의왕간 폐기물 처리시설 광역화 방안이 그것이다.
 둘째, 여유용량의 활용방안에 대한 주민들의 문제제기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시 용량의 과다 설정으로 인해 주민과 많은 마찰을 빚어 왔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 용량이 남기 때문에 타 시군의 폐기물을 수용한다고 했을 때 행정당국의 책임에 대한 공방과 주민 반발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경기도에서 수원시에 소재한 소각장의 여유용량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타시군의 수용을 제안하고 있지만 수원시는 조례에 수원시 이외의 폐기물을 처리하지 않는다고 명문화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셋째, 환경빅딜은 공정한 룰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치 환경빅딜이 여유용량에 대한 문제해결 방안으로 인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환경빅딜은 각 지방자치단체간 주민이 기피하는 시설에 대한 상호 보완체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각장을 `가<&28342>에 설치한다면 음식물처리시설을 `나""에 설치한다든지, 그외에도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매립장 등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사업이 서로 공유되고 서로 보완적인 관계로 형성되어야 환경빅딜은 지속될 수 있다. 금전적인 해결방안보다는 시설간 서로 상호 설치 및 보완관계로 환경빅딜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경기도는 환경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과 합리적 대안 모색을 위해 각계 전문가 25명으로 구성된 제1회 환경정책위원회를 열고 환경기초시설 광역화 추진을 위한 3가지의 모델제시와 함께 도내 3개권역 6개시군의 폐기물 처리시설 광역화·빅딜을 확정했고, 광역화 추진의 새로운 모델로 `여유용량의 활용방안<&28342> `시설간 빅딜추진<&28342> `광역화 시설 신설<&28342>등 3가지 유형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앞으로 동부 및 북부권 등 5개권역의 13개 시군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광역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의 환경빅딜 정책이 성공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앞에서도 얘기했듯이 세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져야 한다. 너무 조급하게 서두르다 보면 오히려 주민들간 분쟁의 씨앗을 뿌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환경빅딜은 지금까지 진행해온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을 변화 시키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행정기관, 주민, 시민단체간 환경빅딜과 광역화 방안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또한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환경문제 해결의 최선책을 찾아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