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월이라 하계되니 소서 대서 절기로다/대우도 시행하고 더위도 극심하다/…/삼복은 속절이요 유두는 가일이라/원두밭의 참외따고 밀갈아 국수하여/가묘에 천신하고 한때음식 즐겨보세.""
 농가월령가 6월령의 서두이다. 짧은 귀절이나마 예전 지내던 유두가 소상하게 나타나 있다. 유두는 음력으로 유월보름날이다. 이날이면 동쪽으로 흐르는 맑은 개울을 찾아가 머리를 감으며 하루를 쉬는데 그래서 `동류두목욕""의 준말이 유두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민속학자 최상수씨는 신라때 이두의 표기라고 주장한다. 즉 유두의 다른 말 수두는 `물머리""로 해석되니 `머리에 물을 맞는다""는 뜻이라는 것이다.
 어쨌든 유두날이면 음식을 장만하여 산간의 맑은 물을 찾아 머리를 감으며 더위도 식혔다. 그렇게 함으로써 액을 물리치고 더위도 타지 않는다고 여겼다. 그러면서 쉬엄쉬엄 차려온 음식을 먹었는데 이것을 유두연이라고 했다. 멀리 신라때 부터의 풍습이라고 하며 고려 희종때 김극기의 기록 `동도 풍속으로 6월 보름날 동류수에 머리를 감아 액을 떨고 술 음식을 즐기며 유두연을 한다""로 보아 오래 되었음을 알 수있다.
 그런가 하면 이날 햇밀을 갈아 국수를 하고 수박과 참외로 조상께 제사를 지냈는데 이것이 유두천신이다. 여기에는 수단이 함께 올려진다. 수단은 맵쌀 가루를 쪄서 구슬처럼 빚은 것을 꿀물에 넣어 얼음에 채운 일종의 납량음식이었다. 유두날의 밀국수도 역시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했다. 그때의 밀은 우리밀이요 훨씬 구수했다.
 음력 유월은 유두와 삼복의 계절이다. 곧 무더운 여름의 고비여서 예전에도 더위를 피하는 일이 큰일이었다. 따라서 더위를 쫓는 습속도 행사도 많았다. 한편 장마철의 습기로 만물을 썩게 할 수 있어 유월을 썩는 달이라고 하여 이번에는 비를 그치게 하는 기청제를 지냈다. 기청제에는 비를 유감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했다.
 그러고 보면 옹색하고 모자랐던 옛날이 훨씬 풍족했다는 생각이다. 지금은 유두도 유두천신도 유두연도 유두면도 모르는 시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