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은 지난 3월이후 침체상태를 보이고 있는 남북관계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은 국제사회 진출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일 뿐 아니라 내부적 권력안정에 대한 자신감의 표출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적극적인 국제진출을 암시하고 있다.
 이번 러시아 방문과 오는 9월로 예정된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의 평양방문으로 북방 3각 동맹체제의 복원이 마무리되면 북한은 미국과의 대화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일 `남방 3각 동맹""과 북·중·러 `북방 3각 동맹""은 남한과 북한을 축으로 긴장과 갈등을 풀어나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특히 김위원장은 이번 러시아 방문에 이동수단으로 모스크바까지 대략 일주일정도의 장시간이 걸리는 철도(총연장 9천2백88㎞)를 선택함으로써 내부 권력 안정화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이 자신감을 바탕으로 향후 남북대화와 북미대화에 적극 나서 관계개선을 통해 북한의 국가 이익을 관철시키려 할 것이라는 점에서 남북간 대화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이와관련, “김위원장은 이번 방러를 통해 러시아로부터 경제·군사협력을 이끌어내 자신의 권력기반을 강화할 것”이라며 “방러 이후 남북, 북미대화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그같은 전망에 무게를 실어주었다.
 또 러시아 방문에서 김 위원장은 경제·군사원조를 이끌어 내는데 주력할 것이라는 점에서 특히 개방정책에 대한 군부의 불만을 가라앉혀 개방 참여를 이끌어 낼 것이라는 점도 남북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다.
 여기에다 이번 회담에서 북한과 러시아는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경의선 연결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할 것으로 알려져 작년 남북 장관급회담에서 합의된 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경의선 복원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김 위원장의 이번 방러가 단기적으로는 현재 소강국면에 빠져있는 남북관계가 당장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북한의 입장에서 이번 김 위원장의 방러, 8.15 행사, 오는 9월 장쩌민 국가주석의 방북 예정 등으로 이어지는 북한의 내외 일정으로 볼 때 남북 당국자간 회담을 조기에 개최하는데는 다소 부담스러울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아산과 북측의 합의에 따라 7월중 개최키로한 당국간 대화는 남북회담 개최여부의 결정권을 가진 김위원장의 국내공석으로 쉽게 열리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작년 7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평양방문과 이번에 이어지는 김 위원장의 답방을 통해 북한이 국제 외교무대의 관례를 준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6·15공동선언"" 사항인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과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다소 커졌다는 지적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허문영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김 위원장의 이번 러시아 방문을 통해 국제무대에서 정상외교를 하려는 모습을 보였고 대남·대미관계 개선 의지를 보인 것”이라며 “앞으로 북미관계가 풀려나가면서 오는 가을 한미 정상회담 이후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