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신섭 경제부 차장
최근 인천시 중구에는 불명예가 하나 생겼다. 바로 '미분양관리지역'이란 꼬리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정하는 미분양관리지역은 쉽게 말해 분양이 잘 안 돼 앞으로도 이런 현상이 되풀이될 가능성이 큰 지역을 뜻한다. 중구는 HUG가 지난해 9월 미분양관리지역을 처음 발표한 이래 현재까지 계속 이름을 올리고 있다. 벌써 1년 3개월째다.
이에 따라 중구에서 주택을 공급하려고 부지를 매입한 사업자는 분양보증 예비심사 대상에 포함된다. 예비심사를 받지 않으면 분양보증(PF보증 포함)이 거절될 수도 있다. 사업자의 아파트 공급이 제한돼 주택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중구의 미분양 주택은 1709세대다. 모두 민간 부문의 주택이다. 이 중 악성 물량으로 불리는 준공 뒤 미분양 주택만 368세대다. 이처럼 중구가 미분양의 늪에 빠진 건 누구 책임일까.
가장 큰 책임은 건설사에 있다. 시장 흐름과 수요 예측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과잉 공급에만 열을 올린 탓이다. 실제로 중구 지역은 지난해부터 미분양 주택이 1000세대가 넘는 데도 건설사의 물량 공급은 계속됐다. 무엇보다 미분양 사태의 근본 원인은 건설사들에 무분별하게 사업 허가를 내준 정부와 자치단체다.
건설사는 분양 이익만 생각한다. 반면 소비자는 교통과 학군, 생활 편의시설, 투자 가치를 두루 따져 집을 산다. 그러나 중구는 입지 여건이 다른 지역보다 열악하다.

HUG 관계자도 "입지 여건이 다른 지역에 견줘 좋지 않으면 분양이 잘 안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문제는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는 점이다.
미분양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인 할인 분양도 말처럼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파트 브랜드 가치 하락과 기존 입주민과의 형평성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서다.
중구의 미분양관리지역 기간은 내년 1월까지다. 인천시와 중구는 민간 건설사에만 책임을 떠넘겨서는 안 된다.
미분양 단골손님이란 불명예를 떨쳐내기 위해서라도 더 적극적인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