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분이 97세이신데 뭔가 이야기가 나올 것 같아요." 1년 전 이맘때 쯤 지역의 문화 해설사와 함께 동구 송림동 샛골에 있는 오래된 기와집을 찾았다. 들어서는 순간, 30여 년 전 잠깐 와봤던 필자의 친구 집임을 알았다. 주변은 몰라보게 바뀌었지만 지은 지 70년 가까이 된 집은 변한 게 거의 없었다. 마루보시(대한통운 전신)에 근무했던 친구 아버님은 일제강점기 인천에 관한 기억을 더듬었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필자의 시선은 자꾸 마당 한구석에 있는 독특한 모양의 비석으로 갔다. 밑동 잘린 60㎝ 정도의 비석에는 '五拾圓 田'이라고 새겨 있었다. "아버님, 저거 어디서 가져오신 거예요?" "아, 그거 해방 후 저 너머 부처산에서 싣고 온 거야."

지난 추석 연휴에 그 분의 부음을 접했다. 상례 며칠 후 불현듯 그 비석이 생각났다. 친구에게 그 존재를 상기시켰고 전문가에게 '감정'을 받아보길 권했다. 인천시립박물관 학예관들과 함께 그 집을 다시 방문했다. 평범한 '물건'이 아님을 전해들은 친구는 그 자리에서 기증 의사를 밝혔고 비석은 바로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며칠 후 필자의 메일에 '조선 명소 인천 88개소 본당 정면의 옥단(玉壇)'이라 적힌 1930년대 사진엽서가 도착했다. 친구 집에서 수습한 것과 똑같이 생긴 비석들이 그 사진 속에 줄지어 서있었다. 210여 기의 석불이 설치되었다는 부처산 이야기는 구전으로만 전해 오다가 몇 해 전 재능대학교 손장원 교수의 연구로 그 존재와 유래가 증명되었다. 그동안 부처산은 사진이나 문헌으로 밖에 접할 수 없었는데 이번 일로 관련 유물을 처음 대하게 된 것이다.

인천시립박물관에는 기증전시실이 마련돼 있어 시민이 기증한 유물들을 1년 동안 상시 전시한다. 벽 한 면에는 개관 이후 70년간 박물관에 유물을 기증한 시민의 이름을 일일이 새겨 놓았다. 기증 유물들은 거창하지 않다. 버스 회수권, 성냥갑, 저울, 미싱, 결혼식 비디오테이프, 기관사 유니폼 등이다. 언뜻 보면 하찮은 물건이지만 인천이라는 공간 속에서 공유해 온 삶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유물들이다. 이제라도 우리 집에 '하찮은' 보물이 처박혀 있지 않은지 두루 살펴볼 일이다. /굿모닝인천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