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자치단체들이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에게 지원하는 생리대를 잠정 보류할 예정이어서 여학생들이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9월말로 예정된 식품의약품안전처 생리대 전수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무작정 나눠줄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인데 자칫 신발깔창 생리대가 다시 등장하지 않을까 우려스러운 것이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이번 조사를 통해 사업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점이다. 전수조사를 통해 유해한 물질이 대량으로 확인될 경우 사업 추진 자체가 중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천지역 자치단체들 대부분은 최근 하반기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 여성용품(생리대) 지원을 중단한 상태다. 시초는 특정 제품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면서다. 이후 발암 물질 논란은 일회용 생리대 전반으로 확대됐다.실제 인천의 한 자치단체 관계자는 "우리 구와 계약한 업체가 언급돼 보건복지부에 관련 처리를 물었더니 식약처에서 사전에 유해성 검사를 한 뒤 시판한 제품이라 대안을 내놓기 어렵다는 식의 답변을 받았다"고 털어놨다. 이 자차단체는 현재 지원 신청만 받고 있는 상태이며 식약처 전수조사 결과가 나온 뒤 일괄 지급할 계획이다.생리대 지원은 지난해 경제적 부담으로 생리대를 사지 못해 수건과 운동화 깔창 등을 사용하는 여성 청소년들 사연이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생리대 낱개 당 가격은 평균 331원 정도이지만 한달 사용량으로 환산할 경우 1만3240원으로 만만치 않은 가격이다. 그러다보니 지금도 지원을 희망하는 문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

사안의 중대성은 인정하지만 이럴 때 자치단체들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지원물품을 문제가 되지 않는 품목으로 전환해 우선적으로 지급할 필요가 있다. 전수조사가 끝날 때까지 마냥 기다려야 하는 여학생들의 어려움을 헤아린다면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한다.청소년들을 보호하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해야 하는 것은 국가의 의무이자 자치단체의 막중한 책임이다. 만약 우리 딸이 수건이나 신발깔창을 사용하면서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자치단체들은 하루속히 대안을 마련해 미래의 주인인 청소년들이 밝게 자랄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