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신섭 경제부 차장
"이제는 지긋지긋한 악연을 끊어야죠."
최근 만난 셀트리온의 소액주주 A(52)씨는 주가 하락의 원인을 '공매도'라고 단언하며 이렇게 말했다.
공매도는 앞으로 주식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파는 투자 기법이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할 때 해당 주식을 산 뒤 같은 종목을 떨어진 가격으로 되사 그 차익을 챙기는 방식이다. 매도 물량이 집중적으로 시장에 나오기 때문에 주가 하락에 큰 영향을 준다.
공매도는 높게 평가된 주식의 가격을 발견해 시장 효율성을 이끄는 순기능도 갖고 있다. 그러나 미공개정보 이용 등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많다. 개인 투자자 비중이 90%를 넘는 코스닥시장은 공매도에 더욱 취약하다.

코스닥 시가총액 1위 셀트리온이 대표적인 예다. 셀트리온은 2011년부터 공매도 세력에 시달렸다. '서정진 회장이 야반도주했다', '바이오시밀러가 임상에 실패했다'는 등 헛소문이 돈 뒤 주가는 하락했다. 공매도 세력은 차익을 챙겼다.
급기야 서 회장은 2013년엔 금융당국에 불법 공매도 세력의 실체를 밝혀달라고 요구까지 했다. 하지만 당시 금융당국은 '실체가 없다'고 결론을 지었다.
이후 지난해 말부터 또다시 공매도 논란이 일었다. 방법은 코스닥을 떠나 코스피로 갈아타는 것 뿐이다.
올 초부터 이어진 셀트리온 소액주주들의 코스피 이전 요구도 바로 이 때문이다. 결국 셀트리온은 이달 29일 오전 10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유가증권(코스피) 상장을 위한 코스닥 시장 상장폐지 의안을 상정·처리하기로 했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점으로 미뤄 셀트리온의 코스피 이전은 확실해 보인다.

이전 상장하면 시가 총액 순위 25위가 된다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코스피 시장에도 공매도 위험은 존재한다. 최근 공매도 거래대금이 코스닥 시장보다 코스피 시장에 더 많아서다. 그런 만큼 셀트리온이 코스피 시장 이전 뒤 공매도와의 악연을 끊을 수 있을지 큰 관심이 쏠린다.
금융당국도 공매도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