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에너지 중장기 계획' 발표]
'저탄소 녹색도시', '녹색 수도'. 그린(Greem)과 먼 거리에 있을 법한 인천이 자연을 품었다. 파리기후변화협약 실현을 위해 마련된 녹색기후기금(GCF)이 위치한 도시 인천은 녹색도시란 사명을 지켜야 한다. 이에 신재생에너지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활용을 위해 정책을 마련하고 전략을 세워야 한다.

인천시가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중장기 종합계획에는 인천의 중·장기 저탄소 녹색성장의 미래가 담겨있다. 인천시민의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과 인천시의 친환경에너지 보급, 지역 업체들의 친환경·녹색에너지 활용 등 인천이 녹색도시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된다.

인천시가 '인천시 신재생에너지보급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발표했다. 시는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이 연구용역을 지난 4월 시작했다.

'신기후변화 체제를 선도하는 글로벌 저탄소 녹색도시 인천'을 목표로 친환경 생활문화 확산, 에너지 신사업 육성·지원,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 소외층 복지강화 등을 추진 과제로 삼았다. 에너지절약 의식을 높이고 인천섬 가치 재창조, 친환경자동차 보급, 해양에너지 개발, 신재생에너지보급, 에너지복지증진, 도시가스 보급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시는 지역에너지 계획과 글로벌 녹색수도 마스터플랜을 연계해 지리적 특성에 맞고 실행 가능한 중장기 종합계획을 마련한다.

연구용역의 계획목표 연도는 2017년부터 약 20년 이후인 2035년으로 하고, 중간목표 년도는 2022년과 2026년으로 정했다. 또 도시기본계획과 기후변화,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있어 국가에너지 계획과 연동하여 수립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계획여건 조사 분석 ▲신재생에너지원별 잠재량 조사 및 분석 ▲부분별 신재생에너지보급 및 확대방안 수립을 위한 조사 분석 ▲도서지역별 풍황조사 분석 및 자립섬(태양광, 풍력, 해양 등) 조성 조사 분석 ▲친환경자동차보급 활성화(충전소 포함) 실행방안 조사 분석 등이다.

신재생에너지사업은 2040년쯤이면 전체 에너지의 20%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대비 1.8배 성장하는 수치로, 세계 발전설비의 46%가 신재생발전으로 충당될 것으로 보인다. 또 2040년이 되면 신재생에너지 생산액이 현재보다 약 20~70%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액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지방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크게 4가지 방식으로 추진된다. 정부·기관 주도형과 사업자 주도형, 소비자주도형, 융합형(소비자 참여형) 등이다. 정부·기관 주도형은 공공 및 정부지원 시설과 교육·군사·원격지(도서, 오지 등)에서 이뤄진다. 사업자 주도형은 산업단지와 관광단지, 대규모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소비자주도형은 대형쇼핑몰과 대규모 생산시설 등에서 진행된다.

아직 인천의 신재생에너지 도입은 타 지역에 비해 낮다. 전기차와 충전인프라 보급을 보면 알 수 있다.

인천의 전기차 지원은 대당 1900만원씩 262대가 이뤄졌다. 부산 500대에 비해 절반 수준이고, 대구 1379대에의 20%에 머물고 있다. 전기차 보급 지원 총액도 타 지역보다 높지 않다. 여기에 공공급속충전기는 수도권에서 가장 적다. 서울 1807대, 경기 508대, 인천 118대로 전국에서 12위로 나타났다.
주목할 부문은 신재생에너지의 가정·상업 부문 보급률이다.

중간용역에서는 "인천시는 수도권 지자체 중 지원단가는 중간 수준이나 예산 규모가 작고 비주택 건물에 대
한 지원사업이 부재해 가정·상업부문의 보급확대를 위해 추가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인천은 수도권 중 예산 대비 지원액이 적고, 상업부문(비주택건물)에 대한 지원사업이 없다. 서울 60만원, 경기 120만원에 비해 인천은 0원으로 총액 규모로 서울 174만원, 경기 234만원, 인천 114만원의 비주택건물 신재생에너지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시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GCF 사무국 유치에 걸맞는 저탄소·친환경 녹색도시를 구현하는데 있어 꼭 필요한 신재생에너지보급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아울러 신재생에너지보급 증대로 지역산업 및 국가 경쟁력 제고와 온실가스 배출저감, 세계기후변화 협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신재생에너지원별 적합한 모델 발굴을 통한 자발적 민간투자 유치로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적 산업육성 수단으로도 활용할 방안이다.

김학근 에너지정책과장은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미세먼지 발생 주요 원인인 석탄화력발전소가 많이 입지한 인천지역의 에너지 현황을 고려한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비전제시 및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적 특성에 맞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원을 중점적으로 발굴해 정부정책에도 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

인천, 정부 정책과 동행

에너지 자립섬 조성 친환경 산단 일군다

문재인정부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 20% 달성을 계획했다.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수준을 높이는 등 연간 증가율 상향 조정을 검토 중이다.

신재생에너지는 전기 생산과 공급이 어려운 섬 지역과 산간 등 오지에 반드시 필요하다. 한발 더 나아가 '에너지 자립섬'을 목표로 한다.

인천은 옹진군·지역 5개발전사·민관협업기관이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을 조성하고 있다.
문제는 에너지 발생량이다.

기존 디젤발전기를 활용해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지만, 발전량이 부족하면 디젤발전기를 활용해야 한다. 기존 디젤발전기가 아날로그인 경우는 신재생에너지로 교체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 시도되고 있는 충남 죽도와 옹진군 지도가 시범 시행 중이다.

현재 죽도의 경우 평균자립률이 80%로 국내 최대이다.
산업단지의 신재생에너지는 인천에서 꼭 일궈야 한다.

인천에는 각종 산업단지가 조성됐다. 14개 산단이다. 국가산단 3곳, 일반산단 8곳, 조성 중인 산단이 3곳이다.

이 곳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인천 전체의 53%이다. 여타 광역단체보다 높은 수준이다. 시는 산단의 전기를 신재생에너지로 교체하기 위해 타 지역으로 눈을 돌렸다.

지난 2011년부터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올해부터 사업 속도를 내는 부산시와 포스코에너지·부산경제진흥원이 선도 역할을 하고 있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기존 산업부문의 에너지 문제를 파악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비경제적 장애요인을 해결할 방침이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