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회진 사회부 기자
인천 바닷가는 요즘 피서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수도권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데다 어촌 체험도 가능해 인기가 많다. 하지만 맑은 바닷물에 아름다운 해안 절경을 기대했던 관광객들의 미간을 찌푸리게 하는 게 있다. 바로 해안가에 방치되고 있는 불법 훼손지들이다.
최근 찾아간 중구 마시안 해변가도 그러했다. 백사장에서 물놀이를 하고 휴식을 즐기려 했던 관광객들은 차에서 내리자마자 멈칫한다. 눈앞에 바로 보이는 얼키설키 쌓여 있는 돌과 흙들 때문이다. 1431㎡ 부지에 수만t 규모의 흙과 돌이 불법으로 쌓여 있는 것이다. 드넓은 백사장을 기대했던 관광객들은 이 광경을 보고 실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여기에 큰 돌 사이에 메워져 있는 콘크리트로 환경 피해마저 우려되는 현장이었다.

영흥도 역시 해안가 주변에는 불법 훼손지가 곳곳에 있다. 백사장과 인접해 있는 땅에 건축 허가를 받은 일부 건축주가 공유수면인 모래사장까지 범위를 확장해 건물을 짓는 사례가 접수되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누려야 할 공간인데도 개인의 욕심으로 자연이 훼손되고 있었다. 사람들의 발길이 쉽게 닿지 않는 서해5도 섬들도 마찬가지다. 국방부가 요새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대청도 농여 해변 수십만㎡의 산과 임야가 훼손돼 민둥산이 돼버리기까지 했다.

문제는 불법 훼손지가 원상 복구되는 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불법 현장을 적발한 자치단체는 관할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하고, 원상 복구 등 행정 명령을 하지만 그 뿐, 불법을 저지른 행위자가 무시해 버리면 그 만큼 제 모습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시간은 늦춰질 수밖에 없다. 그런 탓에 불법 훼손지는 그러한 상태로 짧게는 수개월, 길게는 수년째 방치되는 게 현실이다.

한 번 훼손해 버린 자연을 다시 되살리는 데는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이익을 위해 더 큰 그림을 내다보지 못하고 있다. 난개발과 불법 행위로 시달리고 있는 자연 환경을 복원하기 위해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