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명 평택지역 부장
평택시가 2020년부터 시행하게 될 공원일몰제에 대응해 일부 공원을 대상으로 민간 참여 방식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앞서 시는 장당공원과 모산골 공원을 민간개발방식으로 우선 진행하기로 하고 수 차례의 전문가 자문회의와 5차례의 지역주민 대표 간담회, 시민 경청토론회, 시의회 설명 등을 거쳐왔다.

그러나 올해 초부터 '모산골 평화공원지키기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 9개 단체의 반대로 인해 표류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시는 지난 2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공원일몰제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 제도 심포지엄을 개최해 3시간여에 걸쳐 열띤 토론과 강의를 벌였지만 불협화음만 난무했다.

이날 토론회장에서는 각자의 입장만을 고수하며 날선 대화가 오고갔다. 참석한 교수, 시의원, 토론자, 시 관계자 사이에 찬반이 엇갈리고 참석한 시민들 간에도 찬반이 나뉘었다.

시민모임 측은 "모산골은 다른 장기미집행공원과는 다르다"며 "지난 2010년 공원조성계획 결정고시의 원안을 지켜 모산골 평화공원으로 조성해 줄 것"을 주장했다. 이어 "민간공원조성특례에 대한 토론회가 아닌 모산골평화공원에 대한 주제를 가진 토론회를 개최해 줄 것"을 요구했다.

시는 모산골 공원에만 집중투자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관내에는 도로, 공원, 녹지 등 미집행시설 625곳이 있으며, 이를 처리하는데 5조7000억원의 예산투입이 요구되는 상황에 모산골에만 10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쏟아붓는다는 것은 형평성과 균형배분에 어긋난다는 이유에서다. 더욱이 도로 부분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가 이뤄져야 할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여기서 시와 시민모임 간의 시각 차이는 확연하게 드러난다.

모산골을 포함한 주변 신도시를 바라보는 시각과 평택시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 모산골을 평화공원으로 평택시를 대표하는 명품공원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전체 공원중의 하나인 근린공원으로 바라보는 시각. 이 모두가 우리가 살고 있는 평택을 잘 되게 하기 위한 생각임에 의심이 없는 주장들이고 존중돼야 할 의견들이다.

하지만 평택지역에도 언제부터인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문이 서서히 닫히고 있는데도 집안싸움만 하다가 그나마 남은 기회인 마지막 버스(?)마저 떠나버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는 시가 민간 참여 개발 방식을 강행해 추진한다 해도 사업성과 PF시장 변화 등으로 민간투자 또한 만만치 않다는 의견들이 분분하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공원의 민간개발 방식은 이미 전국 21개 시·군의 80개 사업이 채택 중에 있으며, 이들에게 30%의 수익을 주는 것이 아니라 70%를 받아오는 것이라는 생각의 전환도 필요한 시점이다.

제안서 모집공고를 통한 사업자 선정도 시점이 중요하다. 모두가 서로 틀린 생각이 아닌, 다른 생각을 통해 평택을 사랑하는 애향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애향심은 오히려 지역 발전의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임대명 사회2부 평택지역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