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바닷바람이 만든 전기
해저 케이블 깔면 우리집까지 
▲ 대한민국은 2015년 해상풍력 누적설치량은 5㎿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30㎿의 제주도 탐라해상풍력발전 단지가 일부 가동을 시작하면서 세계 9위 해상풍력 발전국가가 됐다. 일정한 바람세기와 대규모 전력 수요처를 배후에 둔 인천 앞바다의 경우 영흥도와 승봉도~이작도~덕적도를 해저 전력 케이블로 연결하게 되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해상풍력 최적지로 꼽히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태양광 및 해상 풍력발전의 비중을 2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풍력발전의 경우 2030년까지 태양광 37GW, 해상풍력 13GW, 육상풍력 3GW 등 총 53GW의 발전 설비를 확충한다. 풍력만해도 3㎿ 풍력발전기 기준으로는 5300개, 5㎿ 모델로는 3200개가 설치돼야 하는 대규모 공사다. 이 같은 목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부지와 함께 생산된 전력을 수요처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또한 필요하다.해상풍력의 최적지로 꼽히는 인천 앞바다에서 생산된 전력이 수요처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해저케이블 시설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인천 앞바다를 케이블로 연결하라
현재 인구 1400여명의 덕적도에는 300㎾급 내연발전기 3대와 500㎾급 발전기 4대 등 2900㎾ 용량의 내연발전기를 사용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220여명이 살고 있는 승봉도에는 발전기 4대를 돌려 총 용량 950㎾급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덕적도에서 내연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는 덕적도 외에 송전철탑을 통해 소야도까지, 승봉도에서 생산된 전기는 대이작도와 소이작도까지 공급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2010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덕적도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인건비와 유류비 등을 포함해 연간 38억9700만원이 소요된다. 그렇지만 판매수익은 7억3300만원에 그치고 있다. 연간 결손액이 31억6400만원에 달한다. 승봉도의 경우 23억5600만원 생산원가에 판매수익은 3억6600만원에 그친다.

판매원가 대비 수익율로 따지면 20%대 그치는 이 같은 밑지는 장사가 가능한 것은 전국도서 손실 충당금에 해당하는 전력산업기반기금이 있기에 가능하다.

결손액은 도서·벽지 지원사업 명목으로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충당하면서 한전의 손실은 전혀 없다. 오히려 도서지역에서 내연발전기를 운영함에 따라 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도서지역에 전력계통을 연계할 경우 국가적으로 봤을 때 전력소비를 효율화 하면서도 기금을 내실있게 사용할 수 있는 배경이 된다.

덕적도 인근 승봉도와 자월도 등 디젤기관을 이용한 자체 발전 전력공급비용이 상승하면서 정부의 손실 보조금 부담도 커지고 있다.

여기에 전기사용량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승봉도와 자월도의 손실 보조금은 매년 증가해 2011년 95억원, 2012년 104억원, 2013년 106억원에 달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인천시는 전국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덕적도∼승봉도∼자월도∼영흥도를 잇는 약 22.5㎞의 해저 전력케이블 구축사업을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지만 우선 순위에서 계속 밀리고 있다.

인천시 용역 결과 영흥화력발전이 있는 영흥도와 승봉도~이작도~덕적도를 해저 전력 케이블로 연결할 경우 477억6900만원의 투자비가 들지만 7년이면 이를 전부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류비가 상승할 경우 투자비 회수 기간은 더 짧아질 수 있다.

▲해상풍력 전력을 육지로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풍력발전의 경우 16GW의 구축 계획 중 13GW가 해상풍력이다.

해상풍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의 성장모멘텀으로 선진국들은 시대적 트렌드를 읽고, 이미 해상풍력에 뛰어들었거나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중이다. 환경을 위한 명분과 산업적 가치를 파악,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목적이 크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도 대표적인 후발주자이다. 2015년 해상풍력 누적설치량은 5㎿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30㎿의 제주도 탐라해상풍력발전 단지가 일부 가동을 시작하면서 세계 9위 해상풍력 발전국가가 됐다.

해상풍력발전은 문재인 정부의 탈핵, 탈탄소 정책과 맞물려 신재생에너지의 핵심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제주도 서부 해안은 풍력발전이 새로운 관광상품이 되기도 했다.

인천시는 해양에너지는 여타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비해 예측가능하고 높은 밀도의 에너지원으로서 본격적인 사업화가 멀지 않은 것으로 보고 옹진군 덕적도 인근 해역에 조류발전단지를, 대초지도 일대엔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현재 정부는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국가해상풍력발전단지를 전국 5곳에 조성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개발 단지별 10억~20억원 가량의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연구비를 지급해 1~3년내 100㎿~300㎿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를 개발하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8~9월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공모에 옹진군, 발전사업자, 대학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100㎿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공모사업에 선정되면 국비 20억원을 지원받아 기본설계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해양에너지 개발에 나선다.

공모 사업 외에 덕적도에 조류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구상중이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조류발전에 대한 연구개발 단계로, 울돌목에 테스트 장비를 설치해 시험가동중이다. 시는 조류발전시설에 대한 상용화에 대비해 덕적도, 이작도를 대상으로 현황조사를 마친 상태다.

인천 앞바다 일대는 바람의 세기가 일정해 입지조건만 보면 유럽을 뛰어 넘는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전력 최대 수요처인 수도권이 인접해 있고 영흥화력발전소까지 케이블을 연결하면 송·배전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영흥화력에서 수도권까지 깔린 전기고속도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배 보다 배꼽이 더 큰 송·배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해상 전력 계통 연계 사업은 이처럼 영흥화력발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도서지역으로 원활하게 공급해 내연발전기 사용을 자제하고 향후 해상풍력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수요처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정유섭(자유한국당·부평 갑) 의원은 "일정한 바람과 풍부한 수요처 등 인천 앞바다는 세계적인 해상풍력 단지로 손색이 없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해저 전력 케이블 구축으로 영흥화력발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섬지역에 공급하고 향후 인천앞바다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면 해상풍력시대를 보다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도 "인천의 신재생에너지의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해저케이블 구축사업이 필요하다"며 "당장은 어렵더라도 빠른 시일내에 국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산업부와 한전에 계속해서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칭우 기자 ching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