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트렌드로 자리잡은 푸드트럭사업에 참여한 청년 창업자들이 울고 있다. 도내 지자체들이 앞다퉈 벌인 푸드트럭 창업 지원사업에서 선발된 청년창업자들에게 현실의 벽은 너무 높기 때문이다. 푸드트럭 운영자 간에 제살깎아먹기식 매출경쟁으로 한달 100만원도 안 되는 수익에 좌절하고, 인근 기존 상권 상인들의 간섭에 청년창업자들의 창의적 경영은 물거품이 되고 있다.

최근 수원시가 수원남문시장 활성화를 위해 청년들에게 푸드트레일러 18대를 제공했다. 하지만 창업활동을 지원하는 '새로운 길거리 음식문화거리' 조성사업에 지원한 청년 창업자 5명이 창업 5개월만에 가게 문을 닫았다고 한다. 이곳에서 푸드트레일러를 운영하다 중도포기한 청년창업자들은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보름마다 제비뽑기하고, 이동제한과 영업장소 지정, 영업시간 제한, 판매가격 압박 등의 각종 규제로 영업을 하면 할 수록 매출은 감소됐다. 여기에 푸드트레일러 창업자들이 속한 인근 상인연합회에게 메뉴변경까지 허락받아야 하는 등 동종업종의 창업자 간 경쟁에서 시장상인들의 견제의 벽들이 청년창업자들을 괴롭혔다.

최근 경기도가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는 청년창업의 현실을 잘 말해주고 있다. 조사결과 청년 10명 중 7명은 창업자금 및 불안정한 수익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창업에 대한 생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중도 포기 청년들은 창업자금 마련(40%)이 가장 어렵다고 토로했고, 다음으로 안정적 수익창출 우려(18%) 등을 창업의 걸림돌이라고 답했다.

청년창업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규제와 간섭이 아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푸드트럭을 비롯, 다양한 업종에서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창업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청년창업자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청년들의 톡톡튀는 개성과 아이디어를 살릴 수 있는 규제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청년들이 공정한 사회에서 바르게 성장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을 일굴 수 있도록 돕는 것도 기성세대의 역할이다. 청년푸드트럭이 기존 시장 상인들의 들러리가 되지 않는 지자체들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