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평화·미래로 가는길 … 재가동해야"
▲ 신한용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이 인천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신한용 협회장은
인천서 기업 키워내
어망·끈 제조사 대표
경영악화 직접 체험
발로뛰며 애로 청취

신한물산은 어망과 끈류를 만드는 전통적인 노동집약형 제조업체다.

1993년부터 20년 넘게 꽃게잡이 어망을 만들며 서해안 꽃게파시와 함께 성장했으며 2007년부터는 개성공단에 후발주자로 들어가 북한 근로자들이 만든 어망을 인천 앞바다에 뿌리기도 했다.

충남 태안에서 태어난 신 대표는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인천으로 올라왔다. 중·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배달일을 비롯 여러 가지 일을 하며 야학을 다니다가 검정고시를 거쳐 인하대 상업교육학과(현 국제통상학과)에 진학해 인하대 대학원 경제학 박사학위까지 취득해 현재는 인하대 프런티어 학부대학 초빙교수를 지내고 있는 거의 인천 토박이다.

지난해 12월, 신 대표는 개성공단 입주 10년을 앞두고 인천 앞바다와 호흡한 신한물산을 충남 예산으로 옮겨야 했다.

지난해 2월7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하면서 북한 근로자만큼 저임금의 노동력을 구하기 어렵고, 대체부지를 마련할 수 없는 등 경영상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지방으로 이전한 것이다.

신한용 대표는 지난해 개성공단 중단 이후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부회장을 역임하고, 올해 4월 제7대 개성공단기업협회장으로 추대됐다.

회장으로 취임하자마자 입주기업 실태조사에 나섰다. 현재까지 입주기업의 절반 이상인 70여곳 업체를 직접 방문해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개성공단 중단으로 인한 경영악화를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에 더욱 발걸음이 바쁘다.


▲개성공단, 내수침체 돌파할 기회
남북협력 최후의 보루
국익 차원서 접근해야
파산위기 기업 지원을

"개성공단은 평화로 가는 길이자 저성장시대를 돌파할 미래 경제정책입니다."
신 회장은 지난 9일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이 같이 호소했다.

이어 "문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부터 다른 후보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대북정책을 강조한 것에 감사하다"면서도 "그러나 대통령선거 기간 일부 후보자들이 공영방송 TV 토론회에서 개성공단에 대해 '북한 청년 일자리 대책'이라거나 '개성공단을 통해 북한 일자리가 100만명 이상 만들어진다'고 주장할 때 제대로 반박하지 못한 것은 안타깝다"고 아쉬움을 표현했다.

최근 협회에 따르면 개성공단 중단 전까지 입주기업 123개사는 북한 상주 남한 근로자를 800여명 고용했다. 그러나 이 가운데 67개사는 중단 이후 개성공단에 상주했던 근로자를 포함 국내 직원까지 모두 1000여명을 내보낸 것으로 조사됐다. 개성공단 운영이 북한 경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남한 경제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뜻이다.

신 회장은 "개성공단은 중국이나 베트남으로 가려던 기업들이 입주해 국내에서 원부자재를 조달해 저임금의 북한 근로자를 생산인력으로 활용하는 내수형 공단"이라며 "이는 남북한 경제가 동시에 성장하는 상생협력 모델이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기업의 60% 가량은 섬유봉제 업종, 20% 정도는 전기전자와 기계금속 등 북한 근로자의 저임금이 아니었으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떠나려던 업종의 기업들이다.

이들이 해외로 나가는 대신 개성공단에 입주해 있었기 때문에 국내 협력업체들에 고용효과와 생산효과가 전달됐었기 때문에 북한만 위한 경제정책이 아니라는 게 신 회장의 설명이다.

▲평화와 경제 동시성장 가능
남북 경제 상생 모델
南 근로자 고용 효과
대통령 대북정책 감사

1988년 노태우 정권의 북방정책으로 시작된 남북경제협력 사업 개성공단은 2010년 천안함 사태 이후 단행한 금강산 관광 중지 등 5·24 조치에도 남북협력의 최후의 보루로 남아있었다.

신 회장은 "대만과 중국도 정치적으로는 대립해도 경제교류는 한다"며 "한국도 개성공단 문제를 정치적으로 접근하지 말고 경제성장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국익차원에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인천 정책 공약으로 '인천~개성공단~해주를 잇는 서해평화협력벨트 조성'을 밝혔다.

인천시는 이에 맞춰 인프라 확충에 나설 계획을 밝혔다. 우선 영종과 강화도를 잇고, 이후 강화~개성, 강화 교동~해주 도로를 짓겠다는 전략이다.

영종과 강화부터 이은 뒤 남북협력 분위기를 살펴 천천히 도로를 뚫고,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을 거점으로 물류길을 열어 내수침체와 대외경제 불확실에서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신 회장은 "개성공단이 대통령 공약사항이라도 UN 대북제제 등 복잡하게 얽힌 문제라 재개가 쉽진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우선 파산일로에 있는 기업들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전 정부에서 부족했던 지원을 이끌어 내고 개성공단으로 가는 길이 열릴 때까지 기업 경영 일선에서 서두르지 않고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황은우 기자 he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