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현 편집국 부국장(정치2부장)
19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각 당의 후보 경선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홍준표 경남지사, 바른정당은 유승민 의원을 각각 후보로 선출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당에서는 안철수 전 대표가 초강세 속에 사실상 끝내기 수순을 밟고 있다. 이러다 보니 요즘 여의도의 분위기는 분주하다. 전국 16개 시·도, 각 지자체마다 후보 캠프는 물론 중앙당의 정책담당자들을 만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것이다. 이유는 단 하나다. 지역현안을 각 후보들의 대선공약에 포함시키기 위한 물밑 접촉이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날까? 아주 간단하다. 힘의 논리 때문이다. 후보들이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대통령에게 주어지는 막강한 '헌법적 파워'를 이용해 지역의 현안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후보의 공약은 바로 국민과의 약속이므로 대통령으로 당선되면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정책과 예산을 투입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느 후보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는 너무도 분명하다. 국민들은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지역의 이익에 부합하는 후보를 선택하기 마련이다.

각 당의 후보들은 표를 얻기 위해 선거기간 각 지역을 상대로 구애에 나선다. 해당지역의 발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이며, 지역 인사들을 어느 자리에 앉혀 지역위상을 어떻게 배려하겠다는 공약을 내놓게 된다. 이를 보고 지역의 유권자들은 후보를 선택하게 된다.

일례로 지금 호남민심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민주당의 후보 간 구애전략과 국민의당 경선실태는 후보들과 지역민심의 상관관계를 그대로 보여준다. 이 같은 현상은 또한번 재현될 것이다. 공식 대통령 선거가 시작되면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호남민심을 얻기 위해 전력투구할 것이다. 짐작컨대 그 양상은 '사생결단'이 될 것이다. 영남에서도 보수 진영의 후보들 간에 비슷한 양상이 벌어질 것이다.

이런 일은 왜 일어날까?. 이 또한 아주 간단하다. 힘의 논리가 답이다. 후보들에겐 선거 때마다 동일한 지역정서를 형성하며 특정후보에게 몰표를 행사하는 지역의 유권자들만큼 매력적인 동시에 무서운 것이 없다. 선거 후에야 당선자가 헌법에 규정된 제왕적 파워를 가지지만, 선거에서는 유권자의 집단적 선택만큼 파워있는 것이 없다. 그런 점에서 선거제도는 철저하게 개인과 집단의 이익에 부합하는 제도다.

그런데 문제는 지금까지 어느 정당도, 어느 후보도 인천 시민들, 인천의 유권자들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구 300만명, 유권자 200만명에 달하는 단일권역, 인천시에 대한 후보들의 구애는 찾아볼 수 없다.
왜 이럴까? 이 또한 힘의 논리가 적용된다.
인천은 늘 전국 투표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라는 지적을 받아오고 있다. 한 마디로 단일정서를 형성하지 않고 저마다의 투표를 한다는 것이다. 지극히 민주적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한 마디로 후보자들로서는 전혀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 무색무미한 유권자 집단이라는 판단을 하게 된다. 늘 보수와 진보가 반반으로 나타나는 인천. 출신지별로 투표성향이 결정되는 도시에 누가 공을 들이겠는가. 벌써부터 인천지역에서는 홀대론이 나돌고 있다. 각 당의 대선후보들이 인천을 무시하고 찾지 않는다는 것이다. 맞는 얘기다. 그러나 그 원인은 철저하게 인천시민 스스로에게 있다. 고향사람, 연고 있는 사람만 찍다보니 중앙 정치권에서 오늘과 같은 취급을 받는 것이다.

호남지역의 선택은 매 선거마다 전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것으로 인해 역대정권에서 핍박도 받았고, 정권을 창출하고 지역의 발전을 견인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영남지역 또한 수많은 정권을 만들고, 거부하며 오늘의 정치중심지로서 나름의 비전을 키워가고 있다.

선거, 그리고 정치는 이제 미래를 겨냥한 '산업'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봐야 할 때가 왔다. '산업'이 부를 창출하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생산적 활동'을 뜻한다면 요즘의 정치나 선거는 분명 산업이다.

인천시가 최근 어젠다를 선정하고 대선후보 공약화에 나서고 있는 것은 지역발전을 위한 예산과 정책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몸부림이다. 시의 노력에 이제는 시민들이 적극적인 행동과 전략적인 선택으로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자신과 가족들이 삶을 영위하고 있는 인천시, 인천의 발전은 그야말로 기성세대의 의무다. 우리가 살아가는 인천의 발전에 필요한 국가적인 지원(정책과 예산)을 창출하기 위해선 '어느 지역 출신인'이 아니라 인천시민의 입장에서 후보를 바라보는 전략적 선택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