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12월15일 부산-제주 간 정기여객선 남영호가 침몰했다. 14일 서귀포항에서 승객 210명과 연말 성수기용 감귤을 싣고 출항한 남영호는 성산항에서 승객 121명과 추가 화물을 싣고 밤 8시10분쯤 부산으로 출항했다. 당시 남영호의 승선 정원은 290명이었으나 승객 311명과 선원 20명 등 331명을 태워 정원을 41명이나 초과했고, 화물 400톤 이상을 무리하게 실은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당국은 남영호가 침몰하며 보낸 조난신호를 어선 조난사고로 오인했고, 결국 이 사고로 319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로부터 23년 후 1993년 10월10일 오전,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여객선 서해페리호가 침몰했다. 희생자 대부분은 주말을 이용해 바다낚시를 즐기러 간 낚시꾼들로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아 피해가 크게 늘어났다. 29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자 당시 언론은 '일어나서는 안 될 후진국형 인재'로 규정했다. 그리고 2014년 4월15일 인천 연안여객터미널을 출발, 제주로 향하던 여객선 세월호(청해진해운 소속)가 4월16일 전라남도 진도군 병풍도 앞 인근 해상에서 침몰했다. 탑승객 476명 가운데 172명 만이 생존했고, 300여 명이 넘는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 세월호에는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난 안산 단원고 2학년 학생 324명이 탑승하고 있었기 때문에 특히 어린 학생들의 희생이 많았다. 그들 가운데 실종자 9명이 1000일이 훌쩍 넘어간 지금까지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처음이 아닌 사고, 거듭되는 인재(人災)에도 불구하고 달라지는 것이 없다면, 그 이유는 우리가 기억해야 할 때, 기억해야 할 것들을 기억하지 못하고, 대충 임시방편으로 때우고, 희생양을 찾아 떠넘기고, 넘어간 결과였다. 우리는 오늘, 더 이상 살아 있을 것이라 믿을 수 없지만, 그 시신만이라도 돌아오길 소원하는, 이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을 품고 기다리는 가족들과 함께 이들의 이름을 기억해야 한다. "고창석 선생님, 권재근, 권혁규, 남현철, 박영인, 양승진 선생님, 이영숙, 조은화, 허다윤."

/황해문화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