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이 12일 합의한 「협력동반자관계」란 국가간 양자관계를 단계별로 규정하는 중국식 외교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대국의 면모를 과시하려는 중국 특유의 외교적 수사(修辭)인 셈이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들에 따르면 중국은 수교국과의 양자관계를 5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가장 초보적 협력관계를 규정하는 단순수교관계에서 부터 ▲선린우호관계 ▲동반자관계 ▲전통적 우호협력관계 ▲혈맹관계 순으로 협력수위가 높아진다.

 지난 92년 국교를 정상화 한 한^중 양국은 그간 경제 통상 중심의 「선린우호협력」 관계로 규정돼오다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정치 안보 문화 등으로 협력의 범위가 확대되고 수위가 한단계 높아지는 「동반자관계」로 진전됐다는게 외교소식통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정상회담을 조율해온 한^중 양국의 외교채널에선 막판까지 「동반자관계」의 「형용어」를 놓고 줄다리기를 거듭한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측은 수식어 없는 「동반자관계」로 하자고 주장했으나 중국측이 「협력」이란 수사를 삽입해야 한다고 고집, 우리측이 양보했다는 얘기다. 양국의 이같은 논란은 「동반자관계」를 세분하는 중국의 외교관행에서 연유한다는게 외교소식통들의 설명이다.

 중국은 세계 초강국인 미국 및 인근 러시아와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재 선린우호관계인 일본측은 오는 25일 장쩌민주석의 방일을 계기로 전략적 동반자관계 설정을 요구하고 있으나 중국측은 다소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중국은 북한과 혈맹관계였으나 한^중 수교후 전통적 우호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중국은 세계의 정치 경제를 움직이는 미국 등 강대국들에 한정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자국의 위상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