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법정전염병 발생률이 전국 최고인데다 환자도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충격이다. 장티푸스 등 급성에 해당하는 1군 전염병까지 기세를 떨치고 있다니 크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전염병이라면 으레 위생관념과는 거리가 먼 못사는 나라를 떠올리던 통념이 이제 깨지는 단계에 온 것 같다. 몇해 전부터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은 지구촌시대에 접어들면서 병균도 국경을 시도 때도 없이 넘나들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어물어물하다가는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빠져들 수 있다. 한번 전염병이 발생하면 전파속도가 빠르고 인체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는 점에서 확산을 미리 차단하지 않으면 안된다. 늦기전에 강력한 전염병 퇴치책을 강구해야 한다.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한햇동안 인천에서 발생한 전염병(1~3군) 환자는 모두 6천3백6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에서 발생한 전체 전염병(5만7천4백71명)의 11%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다. 바꾸어 말하면 인천이 전염병의 사각지대로 등장하고 있음을 일깨워주고 있는 것이다. 그 내역을 보면 1군 전염병인 장티푸스 9명, 세균성 이질 6명 등 15명에 달한다. 그러나 그 증가추세로 보아 안심할 때가 아니다. 2군 전염병으로 분류된 홍역이 2천4백41명, B형간염은 3천3백69명, 그리고 유행성 이하선염과 풍진이 101명이나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말라리아, 신증후출혈열 등 3군 전염병 환자도 435명에 이르고 있다는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이다. 특히 말라리아의 경우 인천지역 환자의 절반이 넘는 205명이 강화에서 발생한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접경지역인 강화북부지역 주민과 전방부대 전역자들의 발병률이 유난히 높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해준다.

 인천이 이 지경에 이른데는 정부가 실질적인 방지대책을 등한시 한 데 있다. 정부 자세에도 문제가 있지만 지방정부 대응에도 문제가 있다. 인천의 재정자립도가 타 시도에 비해 월등히 높으면서도 이렇게 전염병 발생률이 높다는 것은 보건행정 전반에 구조적으로 허술한 구석이 있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미 방침을 정한대로 전염병 근절대책을 차질없이 실천에 옮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