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라는 것은 공동체적인 삶을 중요시해야 한다. 즉 약자에 대한 배려와 편의를 외면하는 사회는 건전한 사회라고 볼 수 없다. 최근 우리사회의 장애인 복지에 대한 논의와 개선책이 변변치 못하다는 지적은 우리의 후진성을 극명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더욱이 장애인을 위해 길잡이 역할을 담당해야 할 편의시설이 부족하다는 것은 더불어 사는 사회정신에도 위반된다. 사회의 편견과 왜곡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장애인들의 생활을 이제 더이상 방치하고 외면해서는 안될 시점이다.

 최근 인천시가 장애인의 날을 맞아 지역장애인 1천30명을 대상으로한 조사에서 대중교통과 계단 이용시 가장 불편을 겪는다고 호소했다고 한다. 게다가 도로상태와 주차문제 횡단보도 이용 등 외출시 느끼는 고통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이같은 현상은 인천지역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비율이 99년말을 기준으로 44.9%에 불과하다는 집계에서 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지역에 설치돼 있는 총 1만3천여개에 이르는 장애인 편의시설이 관공서나 도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돼 있는데도 불구, 이같은 지적이 나오고 있다는데 있다. 즉 화장실과 안내시설등 기초시설에서의 불편은 말할 것도 없다는 점이다. 대중교통이 되다시피한 지하철 장애인 통로를 비롯해서 횡단보도와 교차로 시설을 둘러보면 시설이 엉터리인 것은 차치하고라도 설치돼 있지 않은곳이 태반이다. 그나마 장애인 편의를 위해 시설한 것이 도움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위험을 가중시킨다면 그것은 장애인을 위한 도우미 시설이 아니다.

 장애는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 등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나 요즈음은 후천적인 장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언제 어느때 누구도 무슨 사고로 장애자가 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고 장애로부터 자유스러울 수도 없다. 이런 점을 명심해서라도 장애인들의 사회활동을 위한 배려, 즉 기초환경 조성에 인색해서는 안되며 이들을 보는 사고도 전환돼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장애인의 날에만 벌이는 일과성 행사보다는 이들을 위한 기초 편의시설 마련에 좀 더 치중할 것을 관계당국과 사업장 등에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