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개항된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의 허브공항으로의 기능을 살리려면 영종도 일원을 국제업무센터로 육성하고 공항·항만·철도를 잇는 삼각연결체제를 갖추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이같은 논거는 삼성경제연구소가 인천공항 개항과 보완과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제기해 정부와 인천시가 관심을 갖기에 충분하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인천국제항은 국제항공 교통흐름의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 동북아 허브공항으로서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나 기능발휘를 위해서는 보완책이 시급히 강구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이 보고서는 영종도 일원지역의 개발을 촉진키위한 공항주변지역 개발특별법을 제정하고 동북아의 운항 거점으로 삼기위해서는 공항·항만·경부·경의선 철도를 잇는 삼각연결체제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 보고서는 허브공항으로의 육성방안으로 정부가 물류거점을 설치하려는 업체의 투자 및 항공사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방안도 제시해 눈길을 끌고있다.

 인천국제공항을 동북아의 허브공항으로 나아가 세계물류거점으로 자리잡기위해서는 공항주변을 국제자유지역으로 지정하고 정비계획수립과 중앙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이 요청된다는 지적을 받아온지 오래다. 이같은 문제는 굳이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를 논외로 하더라도 본란을 통해 자주 거론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개항일자에 연연해 이런 문제점을 뒤로 미룬 채 서둘러 개항함으로써 반쪽개항이라는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되었다. 인천항주변은 늑장행정으로 개발이 안되는 등 업무시설 하나 갖추어져 있지 않고 허허벌판으로 남아 삭막하기까지 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미루어볼때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의 중심공항으로 자리잡기는 요원하다는 것이 우리 생각이다. 때문에 정부와 인천시는 인천공항이 국제적인 물류거점 교두보로 제기능을 가동할 수 있도록 영종·용유지역을 국제자 유관세지역으로 시급히 지정해야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기반시설에 대한 공공투자를 확대하고 개발사업에 민간참여가 활성화 되도록 행정절차 간소화와 조세감면을 통한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그래야만 지역발전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