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도 지자체도 가계처럼 알뜰하게 살림을 꾸리지 않는다면 거덜나기가 쉽다. 건전한 재정이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는 까닭도 이 때문이다. 관이 먼저 허리띠를 졸라매고 솔선해서 국민이 내는 세금을 한푼이라도 아껴쓰려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국민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예산의 낭비요소를 과감하게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경기도가 시·군체육시설 광역화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은 주목할 만한 선언이다. 돋보이는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를 전적으로 환영하면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지금과 같이 시·군별로 운동장·체육관 등 체육시설을 독자적으로 건립·운영할 경우 그렇지 않아도 악화일로에 있는 지방재정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과잉·중복투자도 그렇지만 이용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이다. 운동장 1개를 건립하려면 줄잡아 3백85억원, 체육관은 1백30억원의 공사비가 소요된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이렇게 많은 예산을 들여 만든 체육시설이 거개가 개점휴업상태에 있다는 것은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바로 이같은 불합리, 그것도 낭비요소를 없애겠다는 것은 경기도의 결연한 의지표명으로서 크게 평가 받아 마땅하다.

 현재 운동장이 없는 안산시와 남양주·의정부시 등은 인근 시흥·구리시, 양주군 등과 공동투자를 통해 운동장을 건립한다는 방침 아래 다각적인 협의를 벌이고 있다. 또 체육관의 경우도 의정부시 체육관(의정부·양주), 오산시 체육관(오산·화성) 등이 광역화를 추진하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기능적으로 잘 조화된다면 그 경제적 사회적 효과는 매우 클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시·군 광역체육시설 건립사업이 본격화 되면 우선적으로 전체사업비 가운데 20%를 도비에서 추가지원하는 이른바 인센티브는 이 사업을 추진하는데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진다.

 모든 일이 다 그렇지만 건설계획은 물론 투자계획이나 재원계획 등 모든 부문에 걸쳐 치밀한 검토가 따라야 할 것이다. 인센티브의 제공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시설을 완공한 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할지, 바로 그 점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