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지역이 소음공해와 대기오염이 심각한 상태에 이어 수질마저 엉망이라는 지적은 시민의 환경친화적 하드웨어가 총체적으로 훼손됐다는 점에서 한마디로 충격적이다. 인천시 환경보건연구원이 최근 지역내 생활·공업·농업용수와 지하수 음용수 등을 조사한 결과 이중 상당수가 각용도에 맞게 사용하기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조사결과로 더욱 우려되고 있는 것은 일반인이 음용키 위해 이용하는 약수터의 수질은 물론이요 가정에서 먹는 물과 시중에서 유통되는 샘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다. 약수터의 경우는 모두 85개소를 조사해 이들의 검사횟수 740건중 37.8%에 이르는 280건이 음료수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판단을 받아 다중이용 약수터의 수질관리에 문제가 적지 않음을 경고했다. 더욱이 가정과 관공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음용수와 시중에 유통되는 샘물도 전체조사대상 1천4백41건중 41.2%에 이르는 594건이 마실수 없는 것으로 드러난 것은 음용수마저 시민건강의 위협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드러냈다.

 우리가 적지않은 돈을 내고 좀더 나은 물을 마시기 위해 이용하는 생수등에서 조차 대장균과 질산성질소의 함유가 높은 것은 상당히 충격적이다. 특히 아연·망간 등 인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있는 중금속의 함유 마저 적지 않다는 것은 먹는 물에서 조차 자유로운 선택의 여지가 없게됐다는 한계를 극명하게 노출했다.

 뿐만 아니라 지하수의 수질이 크게 나빠졌다는 결과도 경계의 대상이다. 그 이유는 아직도 많은 농어촌지역등 오지마을의 주민이 음용수를 포함 생활용수를 지하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사결과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지역내 수질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을 더이상 늦출수 없게 됐다. 지역민의 삶과 가장 직결되는 물의 관리 즉 수질향상을 위한 행동에 시가 총체적으로 나서야 할때다. 더군다나 이런 마당에서 당국이 그동안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 내세워온 환경친화적인 정책은 그야말로 무의미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주민기초생활 영위에 가장 기본이 되는 물사용에 자유스러워 질수 있도록 하는 것만이 삶의 질을 높이는 척도라는 점을 명심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