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내버스업체들이 오는 5월부터 운행버스의 30%를 감차하기로 결정, 교통대란이 예상되고 있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내 버스업계가 경영악화를 더이상 감내하기 어려워 감차운행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은 어찌보면 이해할 만하다. 하지만 감차운행이 결과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수많은 학생들과 서민들에게 불편과 고통을 초래한다고 볼 때 문제해결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엊그제 8개 버스업체 대표자모임을 갖고 경유가 인상에 따른 원가상승, 승객감소 등으로 적자가 계속 확대돼 전체 운행버스의 30%감차를 결의했다 한다. 시내버스운송사업도 기업이윤을 내야함은 물론이고 적자경영이 심화될 경우 감량경영이 불가피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시내버스사업이 다른 사업과 달리 대중교통이란 공익성이 중요시되는 만큼 이해만을 따져서는 안될 일이다.



 시내버스가 경영난에 처해있는 것은 사실 새삼스런 얘기는 아니다. 인천지하철 개통으로 교통수요가 이에 많이 흡수되고 마을버스에 승객을 뺏겨 경영난을 겪은지 오래다. 때문에 시내버스업체들이 갈수록 악화되는 적자경영을 벗어나려고 18년간이나 시행해온 공동배차제를 개별배차제로 전환한 것도 따지고 보면 적자경영을 조금이나마 줄여보자는 고육책으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시내버스업계가 추락하고 있는 것이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가 아닌가본다.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지 않은 채 안이하게 대처해온 업계의 책임도 크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다시 말해 시내버스업계의 경영개선 노력부터 선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해마다 시내버스 요금의 인상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개선은 거의 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만이 크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될 것이다.



 인천시의 대중교통정책이 일관성을 잃고 갈팡질팡하고 있는 데도 그 책임이 있다. 대중교통정책이 그동안 많은 시행 착오를 빚으며 궁극적으로 시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깊이 반성해야 한다. 지하철노선이 대중교통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현실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막중하다. 시내버스업계의 적자를 보존해주는 방안을 강구하여 감차운행으로 인한 시민불편이 없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