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각별한 조상숭배 의식이 제사와 차례다. 제사는 조상의 돌아가신 기일에 행해지고 차례는 원래 다례라고 해서 설날 등 명절에 지내는 제사다. 이들 모두 돌아가신 분들의 영혼을 신앙하여 섬기는데서 비롯되었는데 대개의 가정에서 지금은 가정의례준칙에 따라 조부모와 부모 2대만을 제사지낸다.

 그러나 예전에는 제사가 많았다. 4대 이후의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기제를 비롯해서 사계절에 지내는 사시제 대종손이 제주가 되어 동지에 지내는 시조제 선조제 기제로 모시지 않는 분들의 묘소에서의 묘제 등이 있었다. 지금도 가문의 종가에서는 이들 제사를 지낸다. 제사를 지내는 시간은 해시말에서 자시초라고 했으니 요즘시간으로 오후 11시반에서 자정 사이다.

 젯상을 차리는데도 격식이 따랐다. 삼색과실이니 조동율서니 홍동백서니 하는 것은 제물을 진설하는 순서였다. 그리고 제사음식은 아녀자들이 차렸지만 진설은 남자들이 했다. 왼손으로 오른손 소매를 잡아 옷의 소매가 닿지 않도록 했다. 진설에서 이미 제사가 시작되는 만큼 정성을 다했다. 제물의 기본은 명절에 따라 달랐다. 이를테면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 유두차례에는 수단과 화채가 올랐다.

 진설을 마치면 참신과 강신으로 제사가 시작된다. 신주를 모시고 제주가 분향 재배한 후 술을 올리고 난후 탕과 메 편적을 올렸다. 그리고 초헌이라 해서 제주가 첫잔을 올리고 아헌의 두번째 잔을 종부가 세번째의 종헌을 최근 친자가 올리고 나면 많이 흠향하시도록 병풍으로 상을 가리든지 전원이 밖으로 나와 문을 닫았다. 잠시후 제관이 세번 기침소리를 내고 안으로 들어가 숭늉을 올리고 수저를 거둔 후 모두가 재배하고 제사를 끝냈다.

 설을 앞두고 경기농협본부가 "전통제사시연회"를 했다고 한다. 제수를 장만하러 시민이 많이 나온 수원의 한 직거래 장터에서다. 근본도 모르면서 고유의 전통문화를 홀대하는 세태에 좋은 본이 되었으리라 여겨진다. 명절연휴면 관광지로 달려가 제수 일습을 사다가 약식제사를 지낸다고 하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