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시대를 맞아 단체장이나 고위공무원들이 대부분 지역인임에도 불구하고 시/구/군들이 구태에 젖어 상당수의 관사(官舍)를 처분치 않고 보유하고 있다 한다. 더구나 이들 관사 가운데는 40평이 넘는 대형아파트가 주류를 이루고 심지어 주인 없이 수개월째 빈집으로 방치되어 있는 관사도 있어 시대적 사고를 외면한 처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인천시에는 현재 시보유 관사 12채를 비롯해 중구 3채 강화군 3채 옹진군 2채 등 모두 20채의 관사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시/구/군이 관사 구입을 위해 사용한 예산만도 임차료 3억9천8백만원, 매입비 24억3천6백만원 등 모두 28억3천4백여만원에 달해 막대한 자금이 잠겨있다니 예산낭비라는 비난을 받기에 충분하다. 지금 우리는 IMF체제이후 기업의 도산과 정리해고로 실업자가 늘어나고 수출감소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자치단체들은 세수도 여의치않아 재원확보에 비상이 걸려 있다. 그래서 행정자치부는 지난 6월 지방재정구조를 개선키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관사를 줄이고 신/증축 억제를 골자로 한 지방관사 운영개선대책을 시달한 바 있다. 그런데도 인천시 자치단체들은 부동산거래 침체로 지금까지 처분치 못했다며 관사 20채를 그대로 두고 있다면 시행착오라 아니할 수 없다. 특히 시가 보유하고 있는 12채 관사중 상수도사업본부장 용도의 48평형 아파트의 경우 시가 지난 97년 1억5백만원을 주고 구입했으나 지난해 11월~올 7월까지 8개월간 빈 집으로 방치되어 왔다니 우려치 않을수 없다. 또 지난 97년 1월 옹진군이 7천5백만원을 주고 구입한 25평형 규모의 부군수관사는 지난 6월 용도폐기하고 매각을 추진해 왔으나 경기침체로 매수자가 나서지 않아 빈 집으로 방치되어 있다고 한다.

 예산을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해서는 낭비성 관사를 시급히 처분할 것을 권고한다. 그리고 관사처분이 여의치 않으면 타시군의 경우처럼 맞벌이 부부를 위한 어린이탁아소나 노숙자쉼터로 활용하는 것도 생각해볼 문제다. 시민들에게 허리띠를 졸라 매라고하기 전에 자치단체나 지도급 인사들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