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청, 영종도 북동측 공유수면 매립 '영종2지구' 조성 계획 … 수천억 예상
지난해 26.78㎢ 경제구역 해제 '수모' … 환경파괴·인천항 항로 영향 불보 듯
돈이 없어도 토건사업은 질주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영종도 북동 측 바다를 매립해 경제자유구역을 넓히는 방안을 내놨다. 투입 예상 사업비는 수천억원에 달한다. 매립으로 인한 환경파괴와 인천항 항로에 미칠 파급효과는 아직 파악조차 안됐다. 지난해 개발이 늦어지면서 경제자유구역의 일부가 해제되는 '수모'를 겪었어도, 사업을 벌이고 보자는 행태는 그치지 않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영종도 북동측 공유수면을 매립해 가칭 '영종2지구'를 조성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정확한 위치는 영종도 미단시티 앞 바다와 인천공항고속도로 인근 해상을 잇는 지역이다. 준설토 투기장 주변의 영종도 북동쪽 해상이 대부분 포함된다. 면적은 3.39㎢, 사업기간은 오는 2023년까지다.

이 사업에 투입될 예산은 무려 8986억원에 달한다. 일반회계와 특별회계를 합한 인천시 1년 예산의 11% 수준이다. '인천판 4대강'으로 비판받았던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비와도 비슷한 규모다.

인천경제청은 신규 개발재원을 발굴한다는 측면에서 이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매립한 땅을 팔아서 수입을 올리겠다는 뜻이다.

문제는 이 사업이 적절하냐는 점이다. 재정난 상황에서 수천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는데다, 자칫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는데 토지 공급량을 늘렸다가 경제자유구역 전체의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개발이 늦어져 경제자유구역이 해제된 사례가 있는데 굳이 매립을 통해 땅을 만든다는 점도 문제다. 지난해 8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용유·무의 경제자유구역 30.21㎢ 중 26.78㎢를 해제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지난 2003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지만 11년간 개발계획을 세우지 못하면서 법에 따라 구역에서 해제됐다. 있는 땅도 못 개발하는데, 돈을 들여 새 땅을 만드는 형국이다.

이번 사업이 환경에 미칠 영향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 생태계 파괴는 불 보듯 뻔하다. 지난해 EAAFP(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가 개최한 워크숍에서도 송도를 찾는 조류가 절반 이상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물의 흐름을 막다보니 사업지역 남측에 위치한 인천항 항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영일 그린스타트인천네트워크 사무국장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말할 것도 없고 인천이 품고 있는 녹색기후기금(GCF) 취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며 "정책적인 연안관리와 송도 갯벌의 장기적인 관리를 말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매립을 추진하는 건 말도 안 된다"고 말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아직 구상 수준이며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정도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박진영 기자 erhis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