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경수 인천시의회 의장
지방자치제도는 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한다. 시민의 손으로 직접 지역 일꾼을 뽑고, 이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이중 장치로 지방의원을 선출한다. 중앙집권의 '통치'가 아닌 지방자치의 '협치'인 것이다.
지방자치제도는 1961년 전면 중단됐다가 30년만인 지난 1991년 부활했다. 올해 지방의회는 부활 25주년을 맞는다. 유년기를 지나 모든 행동에 책임이 따르는 성인기에 접어들었다.

지난 1대부터 6대까지 300만 인천시민들이 애정 어린 눈으로 시의회에 관심을 보였다면, 앞으로 시민들은 성인이 된 시의회를 향해 책임감 있는 의정활동을 기대할 것이다. 인천시의회는 300만 인천시민을 대변하는 '민의의 장'이다. 10개 군·구를 대표하는 31명의 시의원과 각 정당의 지지를 받은 4명의 비례대표 등 모두 35명의 시의원이 활동하고 있다. 필자는 1998년 3대 기초의회를 시작으로 4대, 5대 시의회를 거쳐 이번 제7대 의회까지 3번의 시의원을 역임했다. 지난 10여 년간 인천 시민을 대변하는 지방의원으로 봉사해 보니 지방의회와 국회의 차이를 여실히 느낀다.

지방의회는 국회와 다르다. 국회가 5000만 국민을 위한 다수 정치를 한다면, 인천시의회는 300만 시민만을 위해 존재한다. 시민을 위해 의정 활동을 하는 데 여·야를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보수와 진보로 편을 가르는 것은 맞지 않다.

소속 정당이 있어도 35명 시의원들은 오직 인천시의 주인인 300만 시민을 위한 '인천당'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인천시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걸맞게 행정수요는 폭증하고 있으며, 복잡 다양한 시민들의 요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를 시원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항상 시민들 편에 서서 생각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 지방의원들이 실천해야 할 '생활정치'인 것이다. 300만 인천 시민이 무엇을 원하고 어떤 삶을 바라는지 항상 되물으며 의정활동을 해야 한다. 시민의 불편함을 바로잡고, 시민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례제정 등 민의를 반영한 의정활동에 노력하면 시민들의 신뢰는 더욱 커진다. 흔히들 지방자치제도를 풀뿌리 민주주의에 비교한다. 풀을 뽑아 보면 잔뿌리가 많이 붙어 있다. 이 뿌리들은 물과 영양분을 흡수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들이다. 아주 작은 지역의 문제는 물론, 주민들의 생활에 밀접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세심하게 돌봐야 하는 것은 우리 지방의원들의 몫이다.

정치적 입장에서 정당과의 관계라든가 공동체 속에서 개인으로서의 한계도 있다. 하지만 주민의 선택 이유를 생각하면 정당을 초월한 300만 인천시민을 위한 의정활동만이 정답이다. 2015년은 인천에겐 위기이자 기회의 시간이다.

시민 행복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35명 의원 모두가 혼연일체가 되어 짧은 4년이 아닌 향후 30년의 미래를 바라보는 의정활동으로 인천의 청사진을 제시할 것을 약속한다. 2015년, 300만 인천 시민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한 복된 한해가 되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