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근 인천시 환경녹지국장 인터뷰
선제적 조치 협상단 운영 동분서주 … "합의과정 매립연장 수순 아니다"
"수도권매립지로 인해 인천 시민이 받은 고통을 보상 받아야 합니다."

지금 1989년 수도권매립지(당시 김포쓰레기매립지)가 탄생했다. 돈 없는 인천시를 핑계 삼아 서울시와 환경부가 각각 수도권매립지 지분을 모두 갖게 됐다. 인천은 그 때부터 땅은 인천에 있지만 아무런 권리와 지분도 없는 '빈털터리'와 같았다.

주변 지역 주민이 받은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동안 1매립장이 종료돼 현재는 골프장으로 쓰이고 있다. 2매립장은 지금도 쓰레기 차량이 한창 서울·경기·인천의 쓰레기를 퍼 놓는다.
"우리 땅에 있는 수도권매립지에 대한 권리를 '인천'이 갖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래서 이번 협상에서 인천은 한 발짝도 물러설 수 없었습니다."

수도권매립지 종료 기간은 2016년 말, 2년 남았다. 지난해 말 유정복 인천시장이 수도권매립지 해결을 위해선 '선제적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한 발짝도 나갈 수 없다고 선언했다. 실무단을 통해 선제적 조치를 논의토록 4자간 손을 잡았다.

조영근 시 환경녹지국장이 인천을 대표할 선제적 조치 협상단을 이끌었다. 지난 민선 5기 때 대체매립지 조성을 놓고 고심한 조 국장은, 이번엔 선제적 조치를 통해 지난 30년간의 인천 시민이 받은 고통을 조금이나마 보상받을 수 있게 선제적 조치를 끌어오기 위해 동분서주 했다.

협상 때 서울시의 '선제적 조치'와 '매립 연장'을 맞바꾸자는 제안을 받는 등 막판까지 난항을 거듭했다. '안되는 것은 안된다'는 게 조 국장의 협상 신념, 그는 선제적 조치와 매립 연장은 바꿀 수 있는 카드가 아니란 사실을 4자 협의체에서 분명히 했다. 그간 수도권매립지 행보에서는 '을'이었지만 이번 협상 타결로 인천은 더 이상 당하지만은 않게 됐다. 수도권매립지의 지분권은 물론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를 이관 받았고, 앞으로 폐기물 반입수수료로 주변 시민들에게 실질 지원이 될 수 있게 했다.

조 국장은 "이번 선제적 조치 합의는 매립 연장으로 가는 단계가 아닙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연장 수순이 아닌 그동안 인천 시민이 받은 고통을 보상 받기 위한 조치란 점은 분명합니다"라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