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36개 지자체 '서경지역생활권 구성' 협약 체결식
매립지·대중교통 등 정책 상호 협력 … 인천 차별 우려
인천·김포·부천행복생활권 협의안도 마련 안돼 '비교'
인천을 뺀 수도권의 다른 축인 서울시와 경기도가 '상생 협의'로 인천만 동떨어지는 모양새다. 수도권매립지로 중무장한 서울-경기가 생활권을 묶은데 이어 인천이 재정난에 허덕이는 와중에 대중교통에 대해서도 두 지역이 손을 맞잡고 있어 인천 시민만 '차별'받을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가 9일 '서경지역생활권'을 구성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서경지역생활권에 참여하는 지자체는 서울시와 서울시 25개 자치구, 경기도 수원시, 성남시, 고양시, 부천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양주시, 구리시, 하남시 등 10곳이다. 이들 36개 지자체는 10일 서울시청에 모여 체결식을 갖는다.

서경지역생활권으로 묶이면 이웃지역 부지·시설·자연자원을 활용해 체육, 문화, 환경시설 등 공동 조성을 추진하고 생활권 공동발전을 위해 상호협력한다. 또 지역간 조정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 지역상생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행정구역 구분 없이 이웃지역과 상생, 소통, 화합하기 위한 공동방안을 찾는다.

인천시가 최근 내놓은 김포-부천시와의 지역행복생활권과 동일한 성격이다. 인천은 아직 김포·부천시와 지역상생을 위한 협의안 조차 마련하지 못한 상황으로 거시적으로 올해 안에 양해각서 등을 체결한다는 밑그림만 그려 놓은 상태다.

인천시가 행정구역상 연계가 큰 김포, 부천은 물론 안산, 시흥 등과 생활권을 엮는 것에 절반의 성공을 얻은 것과 비교된다. 인천시민이 인근 지역 공공시설에서 '대접'을 못받고 있는 상황에 서울-경기의 상생 방안이 부럽기만 하다.

인천과 서울·경기도는 수도권매립지로 한창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2016년 매립 종료에 한 발도 물러설 수 없는 인천시의 입장에 서울·경기도가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이들의 목적은 단 하나 '매립 연장'이다. 이 때문에 인천을 제외한 서울시와 경기도의 지역생활권 확장이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인천이 재정 상황에 헐떡이는 것에 아랑곳 없이 서울시와 경기도가 '대중교통'에도 목소리를 같이 하고 있다. 300만 인천 시민만 수도권에서 외롭게 서 있는 모양새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승객 편의를 위해 심야버스 운행을 확대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3월 '올빼미 버스'운영에 이어, 경기도에서도 13개 시·군 54개 노선에서 자정부터 오전 4시까지 심야버스를 운영 중이다. 경기도는 심야버스 노선 확대를 위해 시·군별로 이용객 현황 등 수요 조사에 돌입했다.

여기에 서울시가 대중교통 요금을 2년마다 한 차례 인상할 수 있도록 조례에 명문화하고 환승 허용횟수도 3회로 줄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열악한 재정 상황에 인천으로선 '수도권광역교통망'과 연동되는 만큼 요금 인상을 속으론 바라고 있지만 시민을 위한 심야버스 마련 등을 못해 시민 반발은 불보듯 뻔하다. 심지어 서울시가 운송 수입 현실화를 위해 수도권 환승 허용 범위를 재검토할 것으로 알려져 재정 사정이 나은 경기도만 이를 방어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 내부의 교통 체계를 제대로 정립하는 작업을 세우고 있는 만큼 시민의 편의 증진을 위해 노력 중"이라며 "수도권매립지와 관련해 인천의 입장에 서울과 경기도가 의견을 같이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