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체시설 어려워 … 소유권 이양 협의·4자 협의체 환영"
생활쓰레기 직매립 2017년 제로화 불구 건설·사업장폐기물 대안 無
서울시가 '수도권매립지 연장'을 우회적으로 요구했다. 인천시의 지난 3일 수도권매립지 '매립 종료' 발표에 다음날 바로 맞불 기자회견을 열어 "미안하지만 어쩔 수 없다"는 식의 홍보전을 펼친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서울시 발표에 '실망스럽다'고 즉각 반발했다.

4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매립지로 감당해야 할 고통이 너무 컸던 인천시민께 죄송하고 감사하다"는 의견을 내놨지만 결국엔 "수도권매립지는 2500만 수도권 주민을 위한 필수시설이며 대체시설을 찾는 게 몹시 어렵다"는 속내를 밝혔다. 또 "인천시장이 요구한 매립지 소유권 이양과 주변 지역에 대한 실질적 지원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협의하겠다"며 "사안이 시급한 만큼 서울시장, 인천시장, 경기도지사, 환경부 장관으로 구성된 4자 협의체도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생활폐기물을 2017년까지 직매립 제로화하겠다"며 이에 따른 방안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매립지 사용 연장을 위한 '상생 방안'으로 생활쓰레기 직매립량을 현재 하루 719t에서 2017년까지 0t으로 아예 없애겠다고 선언했다. 실현 방안으로는 ▲생활쓰레기 20% 감축 ▲쓰레기 자체 처리량 하루 700t 확충 ▲시민운동을 제시하며 우선 내년부터 구청별로 '반입량 관리제'를 도입해 2016년까지 생활쓰레기를 하루 600t 줄이겠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소각재도 재활용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시설을 구축한다.

하지만 생활폐기물 외에는 방법을 내놓지 못했다.

서울시의 1일 총 쓰레기 발생량은 3만7843t이고, 이중 생활쓰레기는 9189t(24%)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건설 2만6730t(71%), 사업장 1924t(5%) 폐기물로 이들 역시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된다. 서울시 발표대로라면 생활폐기물에 대해서는 2017년까지 처리하겠지만, 건설·사업장 폐기물은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박 시장도 "매립 종료 기간을 2016년, 2044년으로 말하긴 어렵다"며 "유정복 인천시장이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한 만큼 여기서 논의할 사안"이라고 피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시가 제기한 매립지 종료에 대한 대책과 선제적 조치에 대한 명확한 입장 표명 없이 수도권매립지 연장 입장만 되풀이한 것은 매우 실망스럽다"며 "서울시가 인천시에서 제의한 4자 협의체를 받아들인 만큼 앞으로 '인천시와 인천시민의 입장에서 (수도권매립지 문제를) 생각하겠다'고 언급한 서울시장의 책임과 진정성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