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개소
▲ 지난 6월13일 2014 대한민국 마을기업박람회가 인천 문학경기장에서 1만2000명이 참여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사진제공=인천시
▲ 25일 제물포스마트타운에서 열린 '사회적경제지원센터 개소식'에서 배국환 정무부시장, 박승희 인천시의회 부의장 등 내빈이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 /황기선 기자 juanito@incheonilbo.com
인천 시민의 삶은 다양하고 생활상은 폭 넓다. 단순한 시장 경제 상황에서 복잡한 자본주의 체제로 바뀌며 이 곳에서 경제 활동을 벌이게 됨에 따라 자칫 자그마한 부분에서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경제 생활의 틈이 벌어지지 않고 유기적으로 묶일 수 있는 장치가 곧 '사회적기업'이다. 그만큼 사회적기업에게 영역이란 '틀'이 없다. 인천시가 사회적기업 등을 지원할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문을 열었다. 사회적기업에서 생산된 제품을 홍보하고 시민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이자 이들 제품을 전시하고 판매, 판로개척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 것이다.

인천시가 25일 남구 제물포스마트타운 13층에 '인천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열었다.

사회적경제센터는 지난 3월 고용노동부가 공모한 복합지원공간 조성사업에 인천시가 전국 시·도 중 단독 선정됨에 따라 확보한 국비로 조성된 공간이다.

이 곳에서는 앞으로 사회적기업 제품을 홍보, 체험, 전시, 판매를 확대하기 위한 소셜벤처 창업실이 마련된다. 또 세미나실, 전시시설 등 복합공간이 생겨 사회적경제조직을 서로 연계하고 체계적인 시스템과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조성해 사회적경제가 원활하게 유지, 발전될 수 있도록 역할을 벌인다. 또 사회적경제 조직에서 발굴된 우수제품 등을 전시할 뿐 아니라 국내는 물론 해외 전시 등도 하게 된다.

성용원 시 사회적경제과장은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향후 인천 사회적경제 인프라를 구축해 인천지역 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대안경제의 새로운 모델로 발전시키는 요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지난 1월 개정된 '인천시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20조를 설립 근거로 한다. 주요 시설은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소셜협력실, 소셜벤처 창업실, 세미나실, 회의실, 휴게실 등이다. 조직은 현재로선 공무원 5명, 민간전문가 2명 등 모두 7명으로 구성됐지만 내년에는 10명으로 조직 확대를 꾀할 계획이다.

▲인천, 사회적기업
'함께 가는 길'을 목표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인천시는 사회공익 추구와 주민 삶의 질 향상·일자리창출이란 꿈을 꾸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이 대표된다.

인천의 사회적경제 예산은 매년 늘고 있다. 그만큼 사회적경제에 대한 관심도가 커졌다는 반증이다.

2011년 8억9100만원에 그쳤던 사회적경제 예산은 2012년 58억원으로 무려 6배 이상 불었고, 2년 후인 2014년 사회적경제 예산은 100억원을 돌파했다. 국비 80억, 시비 20억원으로 아직은 정부 지원이 크지만 지난 2010년 8월 사회적기업팀을 신설된 데 이어 2013년 6월엔 사회적경제과로 조직이 확대됨에 따라 시 안팎의 관심도가 크다.

인천 사회적기업은 모두 143곳이다. 고용노동부가 인증한 60곳과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 77곳, 부처형 예비사회적기업 6곳 등이다. 유형도 다양해 문화·관광 34곳, 청소·시설관리 26곳, 간병·가사 8곳, 사회복지 7곳 등이다. 전국 2340곳 중 인천이 차지하는 규모는 6%이고, 서울시 313곳의 45%이다.

또 마을기업의 경우 모두 54개 기업이 활동 중이다. 업종별로는 제조 14곳, 식품, 22곳, 교육·체험 9곳, 문화·예술 4곳, 기타(운수업 )5곳이다. 협동조합은 전체 196곳이 인천에 세워졌다. 일반협동조합 162곳, 소비자생활 협동조합 34곳이다.

▲사회적기업 육성·지원
시는 사회적기업을 키우기 위해 여러 행정·재정적 방안을 마련했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신규 고용인원 인건비 및 사회보험료 지원'에 64억원(국 48, 시 8, 구 8)을 70개 기업에 487명 지원 중이다. 기업당 평균 7명이다. 사회개발비에 대해서는 '홍보, R&D, 판로개척을 위한 마케팅 사업비 지원'에 관해 18억원(국 12, 시 3, 구 3)을 100개 기업에 나누고 있다. 기업당 1800만원꼴이다. 여기에 지역특화사업비도 사회적기업 육성에 중요한 부분이다. 시는 '지역특성이 반영된 사회적기업 발굴, 홍보, 판로개척비 지원'에 관한 전액 시비로 2억원을 3개 기업에 지원 중이다.

사회적경제 홍보, 사회적기업의 날, 성공모델기업 선정 등으로 뽑인 업체이다. 창업·경영에 관해서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통합지원센터를 선정했다. 시민과 대안 연구소가 이 곳이다. 신규 모델 발굴 및 창업 경영 컨설팅을 제공하는 곳이다. 컨설팅은 회계, 노무, 법무, 세무 등이다. 사회적기업이 생사난 제품에 대해서는 우선 구매 중이다. 시 본청 78곳, 직속기관 및 사업소 31곳, 시 산하 공사·공단 13곳, 군·구 10곳 등 모두 132개 기관이다.

/이주영기자 leejy96@i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