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태의 한시로 읽는 인천 옛모습 - (1) 인천 고전문학과 문화 정체성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보이는 인천(원안이 인천).

'고전(古典)'이란 단어는 옛것을 가리킨다. 여기에 '문학'이란 단어가 결합되면 도서관 서가의 구석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두툼한 영인본을 연상케 한다. 하지만 고전에서 '고(古)'라는 글자는 인간이 주변 환경과 갈등하면서 얻은 경험(戈, 十)을 입(口)을 통해 전승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갈등은 인간과 환경,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생성된 것이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인간들은 공공의 지혜(戈)를 고안해야 했다. 여기서 지혜는 무기(戈)로 나타나지만 그 안에는 유형 및 무형의 도구를 의미한다. 그런 지혜를 여러 세대에 걸쳐 입으로 전승했다는 의미가 '고전'이란 단어이다. 고전은 시공간을 뛰어넘는 보편적 지혜라 규정할 수 있다.

문학(文學)에서 '문(文)'은 사람의 몸에 무늬를 아로새긴다는 것을 의미했다. 타인과 변별되는 자신만의 무늬를 지칭하는 데에서 출발했지만, 이후 개개의 무늬가 타인의 것과 교직되거나 혹은 변별되는 것도 포괄했다. 타인의 무늬이되 그것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데에서 문학이 출발했던 것이다. 흔히 인문(人文)이란 단어가 사람들의 다양한 무늬를 인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고전(古典)을 운운할 때, 단순히 옛것에서 벗어나려면 그것에 현재적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이른바, 법고창신(法古創新)이 그것이다. 연암(燕巖)은 '참으로 과거의 것을 배우면서도 변용할 줄 알고 새로운 것을 만들면서도 고전에서 배울 줄 안다면, 오늘날의 학문이 옛날의 학문과 같게 될 것이다(<楚亭集序>)'라고 했다. 연암의 지적은 고전이 지혜와 가치를 발휘하려면 옛날의 상태에 머물지 않고 현재와 미래로 연계돼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고전문학을 살피려는 것은 인천 문화정체성의 외연을 확장하는 일과 밀접하다. 문화정체성은 문화를 매개로 한 구성원의 자기 동일성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 지역주민의 문화적 정체성은 일정 단위의 지역주민들이 해당 지역의 유형·무형의 문화적 자산을 매개로 갖게 되는 동질감을 의미한다. 여기서 '유형·무형의 문화적 자산'은 해당 지역의 역사·문화적 전통을 통해 형성된 성과들이다. 그런 성과들 중에 하나가 해당 지역의 고전문학이다.

예컨대 고전소설의 배경지에 대한 지자체 간에 논란이 있었는데, <심청전>을 둘러싼 곡성·예산·백령의 경우, <홍길동전>에 대한 장성·강릉의 경우, <콩쥐팥쥐전>에 대한 전주·완주·김제의 경우 등은 지역의 문화정체성과 고전문학의 재해석이 밀접하다는 것을 방증하는 사례이다.

인천은 경기도권역에서 벗어나 직할시(1981년), 광역시(1995년)로 승격했고, 이 과정 중에 옹진군과 강화군(1995년)을 통합했다. 인천지역 광역화의 사정이 이러할 때, 구성원의 자기 동일성을 근간으로 하는 문화정체성을 규정하는 일에 조급해서는 안 된다. 현란한 수사(修辭)나 심상(心象)에 기대어 인천의 문화정체성을 운운하기보다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유형·무형의 문화적 자산을 소개 및 발굴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 물론 특정인들에게만 소용됐던 자료들을 누구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은 문화적 자산을 매개로 동질감을 공유할 수 있으며 그것이 문화정체성 자장의 확장으로 연계될 것이다.

인천고전문학을 소개하고 설명하려는 취지는 여기에 있다.

앞으로 필자가 소개 및 설명하려는 인천고전문학들은 독자들이 익히 알고 있거나 혹은 낯선 경우들이다. 인천관련 고전문학 장르로는 한문학(한시 및 산문), 고전소설(한문 및 한글), 가사, 설화, 민속 등이 있다. 이들이 옛날의 상태에 머물고 있는 고전이 아니라 현재 및 미래를 위한 보편적 지혜가 될 수 있도록 현재적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도서관 서가에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는 영인본이나 벽장의 구석에서 뻣뻣하게 굳어가는 자료들에게 온기를 불어넣어 그들이 숨을 쉴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인천의 문화정체성을 확보하는 한 방법일 수 있다. 단순히 수사에 기대 운운하는 인천문화정체성이 아니라 인천의 고전문학을 연구하고 소개하는 일을 통해 현재의 인천문화를 더욱 창의적으로 계승 및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인천개항장연구소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