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항 조기 활성화 대책
▲ 인천신항 건설현장 모습.
내년 목표 물동량 넘겨야 카페리 - 기존 항만 '나눠먹기' 방지

수도권 물량 유치 전력 … 미주뱃길 개설땐 물류비 등 개선효과





인천신항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인천 앞바다에 부두가 들어서고, 수많은 화물이 쌓일 터를 조성 중이다.

컨테이너 터미널 모습도 갖추고 있다.

상상 속 인천신항의 그림이 현실로 다가왔다.

그동안 논란이 됐던 증심도 확정됐다.

날개를 달았다.

그렇지만, 여건은 녹록지 않다.

동북아 주변국 항만의 물동량 유치 경쟁은 치열하다.

인천신항은 신규 물동량 창출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개장을 1년여 앞둔 인천신항이 활성화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 짚어본다.

지난 9일 오전 인천신항 건설현장을 찾았다.

㈜선광이 사업자로 선정된 1-1단계 B컨테이너 터미널은 무더위에도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B컨테이너 터미널의 상징이 될 게이트가 높게 올라 자리를 잡았고, 신항에 활기를 불어넣을 운영본부, 창고 등이 형체를 드러냈다.

현재 상부공사 진행률은 54% 정도.

오는 9월 초부터는 겐트리 크레인 설치가 시작된다.

인천신항 1-1 B터미널 내년 상반기 개장을 앞두고 있다.

2009년 4월30일 인천신항 1-1단계 컨테이너 터미널이 하부공 축조 공사를 시작한지 6년 만에 드디어 운영에 들어간다.

1800억원이 투입돼 2018년 끝나는 항로 증심은 인천신항에 날개가 될 전망이다.

8000TEU급 이상 대형 선박 입항이 가능해지면서 인천신항이 허브 항만으로 기본 골격을 갖추게 된 것이다.


▲증심이 성공 보증수표는 아니다

항로 수심이 16m로 확대된다고 해서 갑자기 물동량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수심 16m'란 기존과 달리 보다 다양한 규모의 선박들이 인천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 것에 불과하다.

인천항만업계는 인천신항이 개장되는 내년 물동량이 향후 성공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2015년 인천항 물동량이 적어도 300만TEU를 넘어서야 인천신항이 살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것이 불가능해지면 한·중 카페리와 기존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처리하던 물동량이 나눠 먹기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높다.

정태원 성결대 교수 역시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200만TEU를 돌파한 후 300만TEU를 돌파하지 못하면 도태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말레이시아 포트클랑과 스페인 발렌시아, 태국 램차방 등의 사례로 볼 때 인천항은 2016년에는 300만TEU를 반드시 넘어서야 한다.

정 교수는 인천신항 개장은 300만TEU가 아닌 500만TEU 조기 달성을 목표로 설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인천신항 증심이 인천항에 부여했던 의미는 단순히 대형 컨테이너 선박 입항에만 초점이 맞춰진 것은 아니다.

바로 인천신항을 든든하게 받쳐 줄 신항배후부지 조성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증심에서 발생하는 양질의 준설토가 신항배후부지 1단계 212만㎡ 부지 조성에 대거 투입되면서 인천항에서 부족한 배후부지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곧바로 인천신항 물동량에 영향을 끼치지만, 일자리 창출과 국내외 기업들의 지역내 투자를 이끌어내는 결과를 낳는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바로 수도권 규제다.

물류기업은 물론 제조기업이 들어서 항만부지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인천항과 인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수도권 규제를 뚫어야 한다.

오는 2030년까지 무려 5조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 인천신항이 넘어야 할 또 다른 산이다.


▲이제는 마케팅이다

항로 다변화는 인천신항을 넘어 인천항이 사는 길이다.

부산항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항로 서비스는 무려 270개다.

그야말로 세계 5위 컨테이너 처리 항만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수준이다.

올해 7월 현재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 서비스는 모두 27개 선사에서 37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적 선사 13개, 외국적 선사 1개 등이다.

모두 83척의 선박이 매주 약 43회 가량을 기항 중이다.

서비스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가 17개로 가장 많고, 중국이 13개로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이어 일본 4개, 한·중·일, 아프리카, 러시아 등이 각 1개 등이다.

인천항에서는 동남아시아와 중국이 대부분인 셈이다.

아시아 지역 경제가 흔들릴 때 마다 인천항이 물동량을 걱정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인천신항은 이런 현실을 뛰어넘게 해 줄 것으로 기대가 높다.

기존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수심이 낮아 동남아시아 지역 항만으로만 서비스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증심을 통해 대형 선박 유치 및 원양 항로 개설 발판을 마련한 인천신항은 다양한 항로 개설을 통한 수도권 물동량 유치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

동남아시아와 중국을 넘어 인천항의 원양 항로 부재 및 서비스 부족은 곧 수도권 물동량이 부산항과 광양항에서 이전 처리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수도권의 유럽, 미주 물동량은 약 130만TEU이다.

인천신항에 유럽, 미주 항로가 개설되면 물류비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인천항을 이용하게 되면 1TEU당 왕복 기준 24만원으로, 타 항만 이용시 보다 무려 96만원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예견이라도 한듯 인천신항 증심을 놓고 11개의 국내외 유력 선사들이 8000TEU급 이상 대형 선박을 투입하겠다는 의향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새로운 길을 만들기 위한 체계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다.

1-1단계 B터미널은 내년 상반기 우선 개장된다.

화려하게 문을 연 인천신항이 개장과 동시에 '공터'로 전락하지 않도록 치밀한 대책이 시급하다.


▲인천신항 활성화 위해 '판'을 키워라

인천항발전협의회는 지난해 말부터 의미 있는 행사를 하나 제안했다.

인천이 참여하는 포트세일이 그것이다.

지금까지 포트세일은 인천항만공사(IPA)를 중심으로 진행돼 왔지만 이를 넘어서자는 것이다.

IPA는 물론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컨테이너터미널, 인천시 등 항만 관계기관 및 단체, 지자체가 함께 인천항을 위해 뭉치는 계기를 만들자는 의도다.

인천항을 한걸음 뒤에서 쳐다보는 이 없이 인천 역량을 포트세일 성공을 위해 총동원해보자는 것이다.

정부의 '투-포트' 정책의 상징인 광양항은 개장 전부터 위상을 짐작하게 했다.

운영 이전에 '광양항 활성화 종합대책 추진위원회'가 꾸려져 조기 활성화를 논의했다.

이 추진위원회는 활성화 대책 추진사항을 점검 및 보완하고, 새로운 방안을 연구하고 추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당시 해양수산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각 부처, 지자체 및 항만운영사 대표 등이 참여한 가운데 실무위원회에는 해수부와 전라남도 광양시, 관련업체 실무자가 참여했다.

IPA는 최근 인천신항 활성화를 위한 TF팀을 꾸렸지만, 그 성격은 다르다.

IPA와 운영사 중심이다.

인천신항 활성화는 인천항 주체들만의 힘으로는 역부족이다.

여전히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는 인천신항 철도 인입문제를 시작으로, 향후 신항 배후부지 개발에도 인천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과의 협의는 필수다.

인천항과 지자체는 그동안 의견이 충돌되는 현안에만 머리를 맞댔다.

그러나 인천신항 활성화에는 인천 어느 누구도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인천항은 이제 항을 넘어 '판'을 크게 벌려야 할 때다.

인천시 등이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활짝 열 때, 신항 걸림돌도 제거되고 내항재개발, 새 국제여객터미널 및 배후부지 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다.

인천신항은 항이 아닌 인천의 자산이다.

/글 이은경·사진 양진수 기자 lotto@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