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메가시티로 도약, 6대 광역시 비교> 인천, 올 6월 기준 289만2483명 '급증세'
부산·대구 감소 또는 정체 … 노령화 급속
▲ 1040㎢ 면적의 인천광역시는 지역총생산이 60조원을 육박하고, 인구 300만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사진은 시 경제를 이끌어가는 남동공업단지 전경.
'지역총생산' 울산 70조·부산 63조·인천 60조여원順
인천 국회·광역의원 부산 다음으로 많아…국회의장·당권주자 등 배출 저조
'시민 자부심·소속감' '매우 높음'은 4.1% 최저 … 울산 31% 최고


인천광역시. 1981년 7월1일 직할시로 승격된 후 1995년 3월1일 광역시에 이르렀다. 직할시 승격 당시의 면적은 201㎢에 불과했지만 김포군 일부와 옹진군, 강화군을 편입했고 바다를 메워 경제자유구역을 조성하면서 현재 1040㎢에 달한다. 지역 내 총생산(GRDP)은 60조원에 육박한다. 전국 최고의 인구 성장률을 바탕으로 이제 300만 시민 시대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수도권 변방의 항구·공업도시에서 동북아 중심도시를 꿈꾸는 인천. 인천국제공항과 인천공항 등 물류 인프라와 수도권 2200만명의 소비시장을 배후에 두고 있는 인천. 하지만 시민이 가진 지역에 대한 자부심이 물질적인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엄연한 현실이다. 주요 통계를 중심으로 인천을 비롯한 전국 6대 광역시를 비교·분석했다.

▲300만 시대 눈 앞에 뒀다
인천은 전국에서도 유래없이 많은 인구가 몰리고 있는 지역이다. 인천의 인구는 지난 2008년 말 269만2698명에서 지난해 말 287만9782명으로 수직 상승했다. 올해 6월 기준으로는 289만2483명이다. 매년 3만7417명이 인천에서 태어나거나 순유입된 셈이다. 이대로라면 올해 290만명을 돌파하고 2~3년 이내에 300만명 시대를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부산이나 대구는 인구가 감소하거나 정체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부산 인구는 지난 2008년 말 356만4577명이었지만, 지난해 말 352만7635명으로 내려앉았다. 단지 인구 감소 하나만이 문제는 아니다. 노령화 추이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14세 이하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에서 부산은 지난해 기준 106.9로 전국 평균 83.3을 크게 상회했다. <표 참조>

인천의 인구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이 지난 2012년 발간한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0-2040'에 따르면 인천지역 인구는 2030~2035년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이 시기에 부산 등 5개 광역시는 인구 감소세가 가속될 전망이다.

공무원 수도 지역의 규모를 나타내는 척도 중 하나다. '2013년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인천의 공무원 수는 1만2956명이다. 부산 1만6770명에 이어 두 번째 수준이다. 일반직 기준으로 보면 인천의 고위직 공직자는 2급 3명, 3급 27명, 4급 171명이다. 반면 부산은 2급이 4명으로 1명 더 많은 대신 3급은 23명으로 약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급은 인천과 거의 같은 173명이다.

▲경제, 부산에 근접
GRDP만 따졌을 때 6대 광역시 중 1위는 울산이다. 울산은 지난 2010년 부산을 따라잡은 뒤 최고 7% 대의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70조6480억여원의 GRDP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인구는 115만6480명에 불과하지만, 대공장들이 지역 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천의 GRDP는 60조6350억여원으로 울산, 부산에 이어 3위 수준이다. 4위 대구(38조7510억여원)와는 큰 차이를 벌리고 있다. 경쟁도시인 부산은 63조5640억여원을 기록하고 있다. 인천과 부산의 차이는 지난 2004년 7조1420억여원에서 지난 2012년 2조9290억여원까지 좁혀졌다. 화폐 가치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차이는 확연하게 줄고 있는 셈이다.

인천의 경제성장률은 지난 2012년 기준 1.4%다. 최고 8.8%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시기도 있었지만, 최근 들어 둔화되는 추세가 뚜렷하다. 이 같은 경향은 인천뿐만 아니라 모든 광역시에서 나타나고 있다.

▲정치력은 '미달'
인천의 국회의원과 광역의원 수는 각각 12명, 35명으로 6개 광역시 중 부산 17명, 4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하지만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정치력'의 차이는 매우 크다. 타 지역에서 국회의장이나 대권주자, 당권주자가 계속 배출되는 것에 비해 인천은 과거 죽산 조봉암 선생이나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과거 민주당 시절 최고위원을 역임한 송영길 전 시장을 제외하면 두각을 나타낸 정치인이 없었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의원시절 지역구였던 대구나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문재인 전 대선후보가 적을 뒀던 부산에 비해 인천의 중앙 정치력은 약한 편으로 평가된다.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로 대변되는 영남의 정치력은 지금도 중앙정치를 좌지우지하고 있다.

1980년 민주화운동의 성지인 광주는 지금까지도 민주당의 상징적인 도시로 평가된다. 대전 역시 영·호남의 패권 다툼 속에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도시이다.

▲자부심·소속감 아쉽다
겉으로 드러나 있는 수치 말고 인천시민의 의식은 어떨까. 최근 인천시가 내놓은 '2013 인천시민 생활 및 의식조사' 보고서는 인천에 대한 시민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지역민으로서 자부심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0.8%가 '별로 자랑스럽지 않다', 4.3%가 '전혀 자랑스럽지 않다'고 밝혔다. 절반이 넘는 시민이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갖지 못한 셈이다.

타지역과 비교해 보면 뚜렷한 경향이 나타난다. 인천시 조사에는 '보통' 답변 문항이 없어 절대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자부심과 소속감이 '매우 높다'라고 답한 비율만 따져봤을 때 인천은 4.1%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울산 31%, 광주 17.1%, 대전 14.1%, 부산·대구 7.7% 등 모든 광역시가 인천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표 참조>

특히 광주, 울산, 대전은 '보통' 문항이 있어 답변이 분산됐는데도 '매우 높음'과 '높음'이라고 답변한 응답자가 50~60%를 상회하고 있다. 인천의 외향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을 사랑하는 시민 의식의 성장이 절실한 것이다.

/박진영 기자 erhis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