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화 1주년 맞은 인천대 '송도캠 증축 기공식'


541억 투입 3개동 2015년 4월 완공 목표 … '교육여건' 대폭 강화 기대

정부·시, 거점 국립대 육성 취지 무색 빈약한 지원 … 활로 산 넘어 산




지난 17일 인천대학교가 송도캠퍼스에서 건물 3개동 증축 기공식을 열었다.

총 541억원이 투입돼 증축되는 이번 신축 건물들은 지하 1층·지상 6층 3개동, 연면적 2만7400여㎡ 규모로 건설된다.

공사기간을 앞당긴다면 내년 신학기부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로 국립대 전환 1주년을 맞은 인천대는 그동안 송도캠퍼스 개교, 신입생들의 내신성적 등급 상승 등의 효과를 누리고 있다.

여기에 오는 2020년까지 5대 거점 국립대로 진입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 가능성과 달리 국립대 법인 전환 과정에서 태생적으로 갖게 된 열악한 재정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은 인천대가 발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과제다.


▲인천대 송도캠퍼스 내실 키워

이번 '인천대 송도캠퍼스 증축 기공식'에는 최성을 인천대 총장을 비롯해 김교흥 인천시 정무부시장, 황우여, 신학용, 윤관석 국회의원, 고남석 연수구청장, 배진교 남동구청장 등 500여 교내·외 인사가 참석했다.

인천대 송도캠퍼스는 인천대가 인천전문대학과 통합하기 전 입학정원인 1680명을 기준으로 설계된 탓에 증가된 입학정원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됐다.

이에 인천대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송도캠퍼스 증축을 추진해 이번 3개 동의 교육시설을 증축한 것이다.

오는 2015년 4월 완공을 목표로 진행된 이번 신축 건물에는 강의실 57개와 실험실습실 205개, 교수연구실 139개, 기타시설 160실 등 총 561실의 교육·연구 공간이 들어설 예정이다.

확보된 교육·연구 공간은 학생들의 교육환경의 개선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인천대의 교육 환경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날 행사는 지난해 1월18일 시립대에서 국립대로의 전환 1주년을 기념해 마련됐다.

그동안 인천대는 국립대 송도비전 선포와 행정조직 전면개편 등을 통해 '2020년 수도권 거점 국립대 발돋움'과 '세계 인재 양성대학'이라는 비전을 제시해 분주히 움직였다.

우수 교수 확충을 위해 지난해 3월 시행한 교수 채용에서는 김병훈 울산과학기술대 교수 등 연구 실적이 뛰어난 교수들이 대거 지원, 연구력과 교수진의 무게감을 높였다.

이에 따라 신임 교수 21명의 SCI급 논문게재 실적이 1인당 1.58편이란 놀라운 성과로 나타났고, 이는 5대 국립대 SCI급 평균 논문 수 0.46편과 비교해 월등히 높다.


▲지역 인재를 세계 인재로

인천대는 지난해 국립대로의 법인 전환 이후 첫 해의 목표를 '지역 인재를 창의적인 세계 인재로 양성하는 대학'이라고 정했다. 이를 위한 '하드웨어' 확보로 이번 신축건물 공사가 시작됐다.

총 541억원이 투입돼 지어지는 신축건물 3개 동으로 인천대는 인천전문대와 통합되면서 1만5000여명까지 증가된 학생들을 모두 송도캠퍼스에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113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제 2기숙사 계획도 오는 2016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국립대학법인이라는 태생적 문제로 빚어진 재정 여건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함께 이어가고 있다.

정부가 향후 5년간 학교 운영비 충당을 위해 빚을 내면 이자만 지원하겠다며 지원을 꺼리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대는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취업 및 외국어능력 향상 사업 26억원, 융합기술원 설립 등 연구 사업 14억원, 이자 8억원 등 모두 48억원의 국비 지원을 받아냈다.

인천대는 이번에 받은 지원 예산이 향후 인천대의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독립적 '국립대학법인' 지원금은 열악

인천대는 국립대학법인이라는 태생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결과 정부와 시로부터 독립적인 법인이라는 지위는 재정문제로 이어져 대학발전을 위한 충분한 지원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재정문제가 인천대 미래를 어둡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인천대는 지난해 12월, 단기차입금 200억원을 금융권으로부터 조달했다.

국립대법인으로 전환한 지 1년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5년간 1500억 규모의 학교채를 발행해야 하는 고육지책을 써야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지금까지 학교채를 발행한 국립대가 없었다.

'국제경쟁력을 갖춘 거점대학으로 육성'한다는 명분 아래 정부와 인천시가 국립대 법인화를 시켜 놓고 운영비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대는 지난해 200억을 시작으로 2014년도 250억원, 2015년도 300억원, 2016년도 350억원, 2017년 400억원 5년간 1500억원의 학교채를 발행한다.

당초 시는 인천대와 인천전문대의 통합 출범 후 10년간 산학협력 재정지원금 1000억원을 10년간 균등하게 나눠 지원하기로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시는 불안한 재정상태를 이유로 지급을 미룬 상태다.

대학 통합 지원금 270억원을 정부가 지원하지 않으면, 3년간 나눠 자신들이 지원하기로 했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인천도시공사가 출연한 대학발전기금 308억원도 못 받고 있는 형편으로 제대로 된 재정적 지원이 국립대법인화 이후 전무한 상태다.

인천대와 인천시의 '재산분할'도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현안이다.

인천대는 송도 11공구 등 각종 토지를 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시는 이에 부정적이다.

시는 법인으로 독립한 대학에 약속한 재산 이상을 지원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정부 역시 아직도 인천대에 대한 지원을 확정짓지 않고 있다.

앞으로도 대학 운영비나 교직원 임금 등 각종 경상경비가 부족해 빚을 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상우기자 theexodus@i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