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 학교 식중독 제로화 나섰다
   
▲ 인천동부교육청 간부공무원이 학교급식 현장을 암행점검 하고 있다.


'점검단' 전면 개편·위생교육

불량업체 중점관리·행정처분

유관기관 공조 등 예방 노력

원인분석과정 개선필요 지적



지난 해 인천시교육청은 사상 최대의 학교급식 식중독 사태를 겪었다.

2012년 한해동안 식중독으로 인해 발생한 환자는 총 1642명. 9월 한달 동안 1255명의 학생들이 배앓이를 겪으면서 그 숫자가 엄청나게 늘어 역대 최악의 식중독 사태로 기록됐다.

시교육청은 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2013 학교급식 안전지대 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해 크게 3개 영역별로 실행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먼저 ▲학교급식소 위생·품질 관리를 위해 학교급식 HACCP시스템 운영 ▲학교급식운영평가 ▲학교급식점검단의 식재료 납품업체 위생감시 활동 ▲식재료납품업체 사후평가시스템 운영 및 납품업체 위생교육 ▲농·축·수산물에 대한 안전성 검사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학교급식 안전지대를 만들자

지난해 9월 대규모 집단 식중독 사태가 발생하면서 인천시교육청은 관련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에 분주했다.

당시 발생했던 식중독 원인이 지하수로 오염된 김치로 인한 것으로 지목되면서 납품업체 위생관리 대책이 가장 먼저 나왔고 뒤이어 학교급식소 점검 등 다양한 대책들이 마련됐다.

시교육청은 지난해 9월부터 현재까지 인천지역 470개 학교 급식소의 위생·안전점검을 완료했고 보건당국과 학교급식시설에 대한 미생물 정기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식재료 납품업체에서 급식소로 납품된 뒤 가공되지 않은 채 급식에 사용되는 '완제품' 식재료에 대한 위생관리를 위해 그동안 각 지역교육지원청과 시교육청이 각각 운영하던 '학교급식점검단'을 전면 개편했다.

각각 운영되던 '학교급식점검단'을 전면 개편하고 점검단에게 실효성있는 점검활동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인천시 등과 함께 식재료 납품업체 위생점검 요령에 대한 교육과 함께 학교와 거래하는 식재료 납품업체에 대한 점검활동을 벌였다.

위생점검 과정에서 발견된 불량업체는 '위생불량업체 신고센터'를 통해 중점관리되고 시정조치에 대한 개선이 미흡하거나 불공정행위를 한 업체에 경우 관계기관에 행정처분을 요구해 식재료 납품업체로 인한 식중독 발생요인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교육청은 인천지역 학교급식 납품업체 122곳에 대해 불시에 위생점검을 벌였고 지난해 9월 대규모 식중독 사태에 원인으로 지목된 '김치' 제조업체에 대해 특별위생점검을 진행해 식중독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인천북부교육청이 급식실에서 사용하는 도마를 대상으로 미생물 검사를 실시 하고있다.


▲식중독 제로 위해 관계기관 뭉쳤다

학교급식에는 다양한 행정기관의 공조가 필수적이다. 지난해 9월 대규모 식중독 사태가 발생하자 관련 유관기관들은 그해 10월 정기적 합동 협의회 개최에 합의했다.

시교육청과 인천시청,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 경인지방식약처 등 4개 기관의 학교급식 위생·안전 관련 공무원이 모여 정기적으로 학교급식 위생과 식중독 예방대책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를 정례화 한 것이다.
식중독 사고 발생 시 유관기관이 긴밀하게 협조해 초기단계에서부터 식중독 확산을 방지하고 역학조사과정에서 철저한 원인규명을 통해 식중독 재발방지에 노력하게 됐다.

무엇보다 가장 큰 소득은 학교급식소위원회와 학교급식점검단의 납품업체 위생점검시 적발한 불량업체에 대해 특별점검을 요청해 관련 업체에 대한 신속한 조사가 가능해진 점이다.

이와 더불어 유관기관들이 공동으로 식재료 안전검사를 위한 협조도 가능해졌다.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진행한 농산물 잔류농약 및 수산물 중금속검사, 학교급식시설 미생물 정기검사 등 현재까지 학교급식 안전성 검사 결과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고 38교를 대상으로 한 학교급식 한우 유전자 검사 의뢰 결과 100% 한우로 판정됐다.


▲아직 개선책은 더 필요하다

식중독에 대한 다양한 대책들이 현재 시행 중이지만 아직 개선될 부분은 많다.

식중독 예방을 위한 간담회가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시교육청과 인천시, 경인식약청,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은 예방대책 등을 강구하기 위해 올해 총 4회에 걸쳐 합동간담회를 진행하기로 했지만 실상 관련기관 책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2월 열린 첫 간담회에서 시교육청은 책임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 실무자 이외에도 해당 부서를 책임지는 과장들의 참석을 추가로 요구했지만 두 번째 간담회 역시 담당자 위주로 진행됐다.

시교육청이 참석을 요구한 해당부서 책임자들은 업무 일정을 이유로 불참을 통보했다.

특히 모 기관은 지난해부터 '담당자들은 참석하겠지만 과장의 참석은 어렵다'는 답변만 되풀이 한 것으로 알려져 식중독에 대한 인천지역 보건당국의 무관심을 보여줬다.
 

   
 


학교 식중독과 알레르기 사고 발생시 처리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식중독 발생 장소가 학교인 경우 원인이 외부조리식품임에도 발생장소가 학교라는 이유로 학교 식중독으로 집계되는 것과 식중독 발생시 급식소 보존식 외에 매점 조리식품과 인근 분식점들에 대한 역학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명확한 원인 파악이 힘들다는 의견이다.

식중독 원인 분석에 대한 불만족과 지적은 계속되고 있다.

식중독 원인을 밝히기 위해 식중독 환자들로부터 가검물을 채취하고 학교 급식소에 보관돼 있는 보존식을 수거하지만 원인을 분석하는 데 통상 2주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점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지적됐다.

이어 역학조사 결과 보고서에 대한 통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문제는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지만 시교육청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해 서인천고와 부광여고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건의 경우 4개월이 지난 뒤에도 학교와 시교육청에는 통보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영양교사들은 "역학조사 결과 보고서를 통해 식중독 원인을 파악하고 이 문제에 대해 영양교사들이 공유하고 원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보고서 자체가 통지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상우기자 theexodus@itimes.co.kr·사진제공=인천시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