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수학여행 버스 대형참사가 발생한지 3일만에 또다시 야영가던 고교생들을 태운 버스가 뒤집혔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국민들은 참담한 심정에 빠져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불행중 다행이라 할까, 사망자는 없었으나 40여명의 학생과 인솔교사들이 중경상을 입었다는 점에서 자칫 엄청난 재앙으로 번질뻔한 사고였다. 참으로 섬뜩한 일이다. 지난 17일 강원도 야영장으로 가던 이 버스는 커브길을 내려가면서 중앙선을 넘어 앞지르기를 시도하다 이런 변을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안전점검을 한다, 교통위반을 철저히 단속한다며 부산을 떨었던 그 시점에 발생한 사고여서 더욱 실망을 감출 길이 없다.

 지난날의 악몽을 망각하려해도 잊을 수 없는 이유는 바로 비슷한 사고들이, 그것도 대형으로 꼬리를 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별 진전이 없다. 이른바 총체적 안전불감증이며 우리사회의 압축된 단면이기도 하다. 바로 이것이 후진사회의 특징적 현상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실상이 이러함에도 정부가 국민을 안심시킬만한 확실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음은 실로 유감이다.

 아직 섣불리 책임소재를 거론하기 어렵다 하더라도 최근의 잇따른 크고 작은 각종 사고에서 우리사회 어딘가에 나사가 풀려 있음을 느끼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더구나 지난해 씨랜드 참사에 이어 인천 호프집에서 50여명의 어린 학생들이 참혹하게 숨져간 아비규환이 아직도 생생하지 않은가. 도대체 언제나 안심하고 버스를 탈 수 있으며 마음놓고 야영과 같은 교외 생활을 할 수 있을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당국은 이제부터라도 또 다른 참변을 예방하겠다는 실천 의지를 분명히 보여야 한다. 사고가 날때마다 현장정리, 보상으로 얼버무려서는 안된다. 다중이 모인 곳에서 사고가 나면 대형사고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당국의 철저한 감독이 필요함을 재차 강조해 두고자 한다.